Etch Polymer Temp Etch [이온 입사 에너지]

2022.09.12 14:28

The 조회 수:1076

안녕하세요

현직에있는 Etch Engineer입니다..

 

최근 Wordline으로 떨어지는 CMC공정에서의 Punching 이슈로 H/W관점에서 여러가지 Test를 하고있는 상황입니다.

(Punching Point는 300mm Wafer의 최외각보단 안쪽, 약 200~300 mm 사이에서 발생)

모든 Chamber에서 100%는 아니지만 현시점에선 200Hr 후반대 Variation이 있기때문에 그부분을 해소해야하는 상황인데요.

실험Test 결과를 바탕으로, Temp에 의한 Polymer유동 관점으로 메커니즘이 세워지지 않는 부분과

어떤 방향으로 Approach하면 좋을지 조언받기위해 질문 드립니다.

 

[Punching 개선된 Action]  *CCP설비이며 ESC가 Heater Chuck은 아님. Time Etch 사용

1. ESC Embossing 밀도 사양을 변경하여 ESC Temp가 기존대비 1도 상승하여 Reading됨

   → 초기 Punching Variation Issue는 해소

 

2. ESC Temp에 영향 주는 Chiller Temp Offset -1도 입력시, ESC Temp가 기존대비 1도 상승하여 Reading됨

    → 사용중 Punching 발생으로 해당 Input을 넣었을시, Punchng Issue가 일시적으로 해소되나 몇 매 진행후 다시 경시적으로

        Punching 발생

 

3. 상부 열전도율 높여주는 부품인 Pad(ShowerHead와 GDP사이 장착)를 Punching발생시점에 A급으로 교체

    → Sample 1매가 완벽하게 해소(그 이후 추가진행은 시도 안해봤으나, 2CB에서 2번 모두 재현성있게 확인됨.)

 

상기 3가지의 실험으로 봤을때,

- Pattern Wafer에 영향 주는 Temp가 기존대비 상승 → Wafer주변 Polymer 감소 → NOP에 유리 (Punching에 불리)

- 상부 열전도율 경시성으로 하향 → A급 교체후 열전도율 상승으로 Temp 기존대비 하향 → Polymer량 상대적으로 상부로 이동하여

  하부 Pattern Wafer 근처 Polymer량 감소 → NOP에 유리 (Punching에 불리)

☞모두 Punching에는 취약한 부분으로 수렴이되는데 어떤 개념을 놓쳤는지 그리고 이후 실험방향을 어떻게 잡아야하는

   지도 도움 부탁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76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7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39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6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01
193 증착에 대하여... 18210
192 진로상담 [플라즈마 응용분야] 18258
191 저온 플라즈마에 관한 질문 18285
190 RF Power에 따라 전자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Power와 Gas ionization] [1] 18297
189 rotational vibration excitation [TLD와 IRLAS] 18304
188 ICP에 대하여 [DC glow 방전과 ICP 플라즈마 발생] 18326
187 마그네트론관 또는 그외반도체소자로 물을 고열증발가능? 18401
186 PDP 에 대해서.. 18406
185 플라즈마와 사용되는 기체선택 18413
184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플라즈마 18431
183 sputtering 18434
182 TMP에 대해 다시 질문 드립니다. 18451
181 Plasma Gas의 차이점 [플라즈마 화학 반응 및 에너지 전달] [1] 18468
180 물리적인 sputterting 18477
179 Faraday shielding & Screening effect [Fluctuation과 grid bias] 18484
178 질문 있습니다. [Plasma breakdwon과 plasma particle] [1] 18531
177 RF compensate probe 18538
176 최적의 펌프는? [Turbo Pump와 corrosion free] 18633
175 플라즈마을 막는 옷의 소재는? [옷의 소재 표면 처리] 18636
174 핵융합 발전에서 폐기물이 않나오는…. [처리와 재활용] 1866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