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n/Electron Temperature 플라즈마 온도
2004.06.21 15:18
플라즈마 온도
질문은 플라즈마의 온도가 높은데 어떻게 반응기안에 존재할 수 있는가입니다.
이 질문에는 이전에 답을 드린적이 있어요. 수록된 글을 참고하기 바라며 짧은 답을 드립니다.
반응기 내에서으 플라즈마 밀도는 대기중의 공기에 비해서 매우 낮아요. 예를 들어 반응기 내에서 플라즈마 밀도는 단위 cm3당
10에 8-13승 정도 있었요. 이에 반해서 공기 1기압에는 약 10에 19승개 정도의 입자가 존재하고 있어요. 따라서 플라즈마 입자의
온도가 1도에서 10000도(1eV)로 높아져도 우리가 대기중의 공기 온도 1도(1K) 변화에 비하면 거의 그 변화를 느끼기 힘들겠지요.
이같은 이유로 인해서 플라즈마의 온도가 높다하더라도 반응기의 전체온도가 플라즈마 온도까지 높아질 수는 없고 반응기는 무사
합니다. 하지만 대기압 플라즈마, 즉, 플라즈마 토치나 spray등에서는 플라즈마와 그 주변의 공기의 온도가 모두 높아서 토치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 열을 이용하여 철제 강판을 절단하거나 합니다. 이때의 플라즈마 밀도는 낮아도 주변 공기입자와 많은 충돌
로 인해서 주변 공기입자의 온도를 수천도까지 높이게 되어서 접촉하는 물질을 용융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때에는 플라즈마
토치의 팁등은 잘 녹아 소모되기도 합니다.
계속 플라즈마 온도에 대해 관심을 가져보세요. 플라즈마의 특성중에서 플라즈마의 온도에 관한 관심은 매우 중요한 연구분야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4] | 75750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38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62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994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216 |
27 | 플라즈마내의 전자 속도 [1] | 21780 |
26 | 플라즈마 온도 질문 + 충돌 단면적 | 21943 |
25 | floating substrate 에서 sheath 형성 과정 의문점 [2] | 22783 |
24 |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 23009 |
23 | DC glow discharge | 23140 |
22 | 플라즈마 물리학책을 읽고 싶습니다. | 23345 |
21 | self Bias voltage | 23801 |
20 | 플라즈마 쉬스 | 23813 |
19 | plasma and sheath, 플라즈마 크기 | 23880 |
18 | 플라즈마에 관해 질문 있습니다!! | 24103 |
17 | plasma와 arc의 차이는? | 24208 |
16 | 충돌단면적에 관하여 [2] | 25952 |
15 | self bias (rf 전압 강하) | 26506 |
14 |
이온과 라디칼의 농도
![]() | 26779 |
» | 플라즈마 온도 | 27113 |
12 | sheath와 debye shielding에 관하여 | 27508 |
11 | 압력과 플라즈마 크기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1] | 27748 |
10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관계 | 28049 |
9 | 반도체 관련 질문입니다. | 28557 |
8 | 플라즈마의 정의 | 293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