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ote Plasma Remote Plasma 가 가능한 이온

2017.09.23 14:13

parkura 조회 수:1741

안녕하세요


Remote Plasma 를 활용한 depo chamber 의 설계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막질 depo 후 후속 radical 을 이용하여 막질의 densification 을 하기 위해 post plasma treatment 를  하고자 하는데요


현재 N2, H2, NH3 를 radical source 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N2 의 remote plasma 는 가능한 걸로 알고 있는데, H2 의 경우 H* (radical ion) 는 생성 후 먼거리 도달의 한계가 있거나, 또는


쉽게 H2 로 변한다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radical souce 로 활용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NH3 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Remote plasma 의 설비 설계시 ion 들의 직진성이 고려되도록 설계가 되어야 하는지요.. path 가 복잡할 시 plasma 효과를 볼 수 없게 되는지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5] 7578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472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679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06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0361
86 Ar/O2 ICP 플라즈마 관하여 [1] 1594
85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1606
84 ICP와 CCP에서의 Breakendown voltage [1] 1646
83 N2 Blowing Ionizer 사용 시 궁금점 질문 드립니다. [1] 1721
» Remote Plasma 가 가능한 이온 [1] 1741
81 안녕하세요 ICP dry etching 관련 질문사항드립니다! [1] 1771
80 RF generator 관련 문의드립니다 [3] 1771
79 RPG Clean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2] 1798
78 유도결합 플라즈마 소스 질문!!!? [2] 1826
77 가입인사드립니다. [1] 1864
76 ECR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1934
75 Ar과 O2 plasma source에 따른 ignition condition에 대하여 질문 있습니다. [1] 2040
74 RF 주파수와 공정 Chamber 크기의 상관관계 [1] 2078
73 CCP plasma에서 gap과 Pressure간의 상관관계 [1] 2103
72 교수님 안녕하세요, icp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2] 2166
71 RPS를 이용한 SIO2 에칭 [1] 2228
70 고온의 플라즈마와 저온의 플라즈마의 차이 [1] 2354
69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2] 2366
68 수소 플라즈마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2512
67 플라즈마 밀도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261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