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glow discharge corona [Streamer와 Impurity]

2004.06.21 15:12

관리자 조회 수:16064 추천:279

corona에서 arc로 진행되었다면 플라즈마 streamer가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전이 되었다는 말입니다. 전극을 바꾸어 성공했다고
했는데 아마도 전기장을 크게 만드는 형태로 변경되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하상 trade-off가 있는데 이는 전극 표면의 변화가 심해
진다는 말도 됩니다. 또한 연속 방전의 경우 표면온도가 높게되고 이 두가지 조건은 전극 표면의 입자들이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는
조건이 됩니다. 이들 불순물들은 플라즈마 내에서 정상상태를 왜곡시키기도 합니다. 따라서 지금 부터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시점으로
생각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754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7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39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6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799
22 Lxcat dataset에 따른 Plasma discharge에 대한 질문입니다. [CX 데이터] [1] 349
21 플라즈마 제균 탈취 가능 여부 [대기압 환경 플라즈마와 라디컬 분포] [1] 467
20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방전 기전] [1] 835
19 Hollow Cahthode glow Discharge 실험 관련해서 여쭤보고싶습니다. [장치 setting과 전극재료] [1] file 1054
18 DC Plasma 전자 방출 메커니즘 1193
17 상압플라즈마 제품 원리 질문드립니다 [I-V characteristic 방전 커브] [2] 1240
16 glow 방전 현상과 플라즈마 현상에 궁금하여 글 남깁니다. [고전압 방전 및 DBD] [2] 2068
15 플라즈마 띄울때..ㅠㅠ!!? [Breakdown voltage 및 이온화 에너지] [1] 2287
14 양극 코로나 방전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차 전자의 방출 특성] [1] 2412
13 플라즈마 관련 기초지식 [DC glow discharge] [1] 2555
12 플라즈마 압력에 대하여 [Glow discharge와 light] [1] 2964
11 코로나 방전의 속도에 관하여 [코로나 방전의 이해] [1] 3743
10 방전에서의 재질 질문입니다. [방전과 전압] [1] 3789
9 안녕하세요 교수님. [2차 전자 방출 메커니즘] [1] 9547
8 플라즈마 살균 방식 [Plasma medicine] [2] 11913
7 플라즈마가 생기는 메커니즘에 대한 질문입니다. [플라즈마 형성 과정과 파센의 법칙] [1] 13773
» corona [Streamer와 Impurity] 16064
5 플라즈마에서 전자가 에너지를 어느 부분에서.. 17903
4 Breakdown에 대해 21666
3 DC glow discharge 2341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