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플라즈마를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질문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논문등을 살펴보게 되면 Ar fraction이 (예를들어 Ar(Cl2+Ar 혼합가스) 증가할 수록, Te(Electron Temperature)
값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옵니다. (Ion Density 역시 증가합니다.)
실험을 하던 도중. Ar fraction이 증가할수록, Te값이 떨어지는 현상을 발견하였습니다.(하지만 Ion Density는 증가)
이를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일반적으로라면 Ar이 이온화되면서 많은 gas reaction을 야기 하겠으나,
정형화된 data에 대하여 반대의 경향성이 나온 경우 어떻게 해석되어야 할까요?
추가적인 실험환경에 대한 설명을 덧붙여 드리자면,
(기존의 Chamber wall은 퀄츠 재질로 Ar fraction에 대하여 Te는 증가하였습니다. 하지만 Chamber를 Al 재질로 바꾼후
위와 같은현상이 발견되었습니다.)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 102865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24688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61418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73479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105832 |
54 | 플라즈마 절단기에서 발생 플라즈마 | 14910 |
53 |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 | 15183 |
52 | 박막 형성 [ICP와 MOCVD] | 15385 |
51 |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표면개질에 관해 [1] | 15870 |
50 | Sputter | 16109 |
» | Ar traction에 따른 Plasma 특성 질문입니다. [Chamber wall과 radical reaction] [1] | 16113 |
48 | 몇가지 질문있습니다 | 16646 |
47 | nodule의 형성원인 | 16920 |
46 | sputter | 16982 |
45 | 플라즈마 처리 [표면처리와 Plasma Chemistry] | 17051 |
44 | ICP 식각에 대하여… [Electronegative plasma] | 17103 |
43 |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 17295 |
42 | 교육 기관 문의 | 17842 |
41 | 플라즈마 응용분야 | 17977 |
40 | Plasma of Bio-Medical Application | 18067 |
39 |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Capacitance와 DC ripple] | 18122 |
38 | Splash 발생 및 감소 방안은 없는지요? [Splash와 TG Maker] | 18194 |
37 | 증착에 대하여... | 18210 |
36 | sputtering | 18434 |
35 | 물리적인 sputterting | 184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