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에서 현재 반도체 공정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현재 RIE를 통해 oxide가 깔린 웨이퍼를 dry etching 하는 실험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실험을 통해 oxide를 rf power 75W, 시간은 1분으로 고정시킨후 CF4가스를 10sccm에서 50sccm으로 증가시키면서 etch rate를 측정한 결과 etch rate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제 생각에는 plasma에 있는 이온이 웨이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gas의 밀도가 높아져 scattering이 증가해 physical etch가 감소하고 그로 인해 oxide의 bonding이 덜 깨져 radical에 의한 chemical etching도 감소한 것으로 예상되는데 제 생각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3] 103300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71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52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1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942
114 터보펌프 에러관련 [터보 펌프 구동 압력] [1] 2072
113 Pecvd장비 공정 질문 [Dusty plasma와 벽면 particle 제어] [1] 2111
112 PECVD 증착에서 etching 관계 [PECVD 증착] [1] 2208
111 RF FREUNCY와 D/R 과의 상관 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CCP와 ionization] [1] 2253
110 wafer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Er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 [ER과 self bias] [1] 2282
109 CVD품질과 RF Delibery power 관계 질문 [RF power와 plasma information] [1] 2322
108 플라즈마 에칭과 표면처리의 차이점 질문드립니다. [Cleaning, sputter etching, RIE] [1] 2409
107 Ta deposition시 DC Source Sputtreing 2472
106 식각 시 나타나는 micro-trench 문제 [소자 식각 데미지] [1] 2537
105 압력, 유량과 residence time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MFC와 residence time] [1] 2610
104 PECVD 증착시 온도, 기판의 종류의 영향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PECVD와 PACVD] [1] 2702
103 e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충돌 현상 및 이온화 과정] [1] 2706
102 sputtering gas에 따른 플라즈마 데미지 [Sputter와 sheath, flux] [1] 2718
101 Etch 공정(PE mode) Vpp 변동 관련. [Self bias 형성 과정과 전자의 에너지] [1] 2744
100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MD 시뮬레이션 연구] [1] 2785
99 Dry etch 할 때 센터와 사이드 etch rate [Plasma diffusion과 distribution] [1] 2812
98 산소 양이온의 금속 전극 충돌 현상 [플라즈마 표면 반응] [1] 2816
97 플라즈마 깜빡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Ionization collision 및 Effective ionization energy] [1] 2910
96 DRY Etcher Alarm : He Flow 관점 문의 드립니다. [O ring 결합부 근처 leak detect] [1] 2917
95 PR wafer seasoning [Particle balance, seasoning] [1] 294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