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N2 플라즈마 공정 시간에 따른 Etching rate의 변화 이유가 알고 싶어요 [Cooling과 Etch rate]
2010.01.20 17:55
안녕하세요.
N2 Gas를 이용하여 monomer 박막 Etching을 하는데요.
10min 공정에 200A/min etching 되었는데 50min 공정에서 500A/min 정도로 1/2로 Etching rate이 줄었습니다.
그 이유를 자세히 알고 싶은데요.
빠른 답변좀 부탁 드릴께요.
예상 되는 원인은 : 공정 시간이 길어 짐에 따라 chamber 내 온도 상승으로 박막 경화 되어 Etching rate이 감소 했을것으로
생각 되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그리고 다른 예상 가능한 원인들좀 알려 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 2
-
김곤호
2010.01.20 05:26
- 공감합니다. 온도 변화가 큰 요인 중에 하나가 되겠네요. 플라즈마 입자 및 UV 조사에 의한 경화는 일반적인 현상이 되겠습니다. 혹시 cooling 시키면 어떨까요? -
monomer 물질이 어떤 것인지 정확히는 모르나,
N2 플라즈마에 의해 박막 표면이 노출이 되면 일정 두께에 막질이 경화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화현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각률이 떨어지는 경향을 시간에 따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경화현상 자체를 확인하시고 싶으시면, 막의 수직 단면을 절단해보시면 확인히 차이가 난 막질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억제하고 식각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표면 막질의 식각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정 recipe의 개선이 필요하고, (식각 장치가 어떤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근본적으로 식각률을
향상시켜 최적 요구조건 수준 이상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서의 cooling도 해보시고, He나 기타 열용량이 큰 가스들을 첨가함으로써 식각률 이득 뿐만 아니라,
chamber 구조상의 열손실을 확보할 수 있는 배기 구성 등을 시도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3] | 103374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2471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61542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7352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105965 |
54 | 플라즈마 절단기에서 발생 플라즈마 | 14917 |
53 |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 | 15189 |
52 | 박막 형성 [ICP와 MOCVD] | 15390 |
51 |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표면개질에 관해 [1] | 15877 |
50 | Sputter | 16113 |
49 | Ar traction에 따른 Plasma 특성 질문입니다. [Chamber wall과 radical reaction] [1] | 16118 |
48 | 몇가지 질문있습니다 | 16646 |
47 | nodule의 형성원인 | 16925 |
46 | sputter | 16988 |
45 | 플라즈마 처리 [표면처리와 Plasma Chemistry] | 17057 |
44 | ICP 식각에 대하여… [Electronegative plasma] | 17108 |
43 |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 17296 |
42 | 교육 기관 문의 | 17843 |
41 | 플라즈마 응용분야 | 17981 |
40 | Plasma of Bio-Medical Application | 18070 |
39 |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Capacitance와 DC ripple] | 18132 |
38 | Splash 발생 및 감소 방안은 없는지요? [Splash와 TG Maker] | 18198 |
37 | 증착에 대하여... | 18216 |
36 | sputtering | 18443 |
35 | 물리적인 sputterting | 184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