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ICP Dry etching을 활용한 High-k , Oxide semiconductor patterning 연구를 진행중인 석사과정 학생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Dry etch chemistry는 CF4/Ar gas인데요, 이 때 반응성 이온으로 형성될수 있는 F+,CFx+ ion 그리고 non-reactive gas인 Ar의 역할들에 대해 질문을 여쭙고 싶습니다.

 

흔히 Ar ion의 경우 energetic bombardment라 하여 target 표면의 1.physical sputtering 및 2. bonding을 깨 radical과의 화학반응을 유도하며 3. 낮은 ionization energy로 인해 RIE 공정 시  plasma 안정화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반면 Reactive ion 의 경우의 역할에 대해 혼란이 있는데요, 예를들어 CF4 gas의 경우 plasma에서 CFx+ 및 F+ ion이 형성되고

수많은 논문들에서는 이들 reactive ion 의 역할을 1.radical과 같은 표면반응으로 byproduct 형성 / 2. icp의 bias power의 영향을 받아 Ar ion 과 같은 bombardment 역할을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부분에서 장비 및 공정의 조건 그리고 target물질에 따라, reactive ion(CF3+ CF2+,CF+,F+ etc..)들의 역할이 바뀔 수 있는 것인지요, 아님 복합적으로 화학반응 및 sputtering 역할이 동시에 일어나되, 공정조건에 따라 dominent한 역할이 달라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정리하면 rie에서 reactive ion의 역할이 ion bombardment & sputtering, chemical reaction 둘다 맞는 말인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64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62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36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4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752
76 플라즈마 식각 커스핑 식각량 225
75 ExB drift 식 유도 과정에서의 질문 [삼각함수의 위상각] [1] 338
74 Wafer Capacitance 성분과 Vdc 관계 문의드립니다. [Sheath 크기 및 전위 분포] [1] 431
73 Debey Length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플라즈마 정의와 Deybe length] [1] 457
72 ICP 장비 TCP Reflect 발생 간 조언 부탁드립니다. [1] 476
71 가스 조성 및 온도에 따른 식각률 관련 질문입니다. [Arrhenius equation 이해] [1] 483
70 III-V 반도체 에칭 공정 문의 [1] 549
69 Wafer 영역별 E/R 차이에 대한 질문 [Gas flow system vs E/R] [1] 564
68 RIE 설비 관련 질문 좀 드려도 될까요? [RF matcher noise] [1] 584
67 플라즈마 식각 시 notching 현상 관련 [Ar, O2 플라즈마 생성 특성] [1] 590
66 center to edge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2 606
65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Plasma Cleaning] [1] 610
64 공정 DATA TARGET 간 난제가 있어 문의드립니다. [Sheath uniformity 이해] [1] 613
63 Etch Plasma 관련 문의 건.. [RF 주파수와 플라즈마 주파수] [1] 622
62 RIE 식각공정중 발생하는 가스를 예측할 수 있는 메커니즘에 대해 질문하고 싶습니다. [플라즈마-화학-표면 반응 모델] [1] 629
61 RIE Gas 질문 하나 드려도 될까요? [Sheath instability] [1] 634
60 애칭 후 부산물의 양을 알고 싶습니다. [Materials processing] [1] 643
59 메틸기의 플라즈마 에칭반응 메커니즘 [공정 플라즈마] [1] 721
58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761
57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Self bias와 RIE] [1] 87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