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ICP Dry etching을 활용한 High-k , Oxide semiconductor patterning 연구를 진행중인 석사과정 학생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Dry etch chemistry는 CF4/Ar gas인데요, 이 때 반응성 이온으로 형성될수 있는 F+,CFx+ ion 그리고 non-reactive gas인 Ar의 역할들에 대해 질문을 여쭙고 싶습니다.


흔히 Ar ion의 경우 energetic bombardment라 하여 target 표면의 1.physical sputtering 및 2. bonding을 깨 radical과의 화학반응을 유도하며 3. 낮은 ionization energy로 인해 RIE 공정 시  plasma 안정화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반면 Reactive ion 의 경우의 역할에 대해 혼란이 있는데요, 예를들어 CF4 gas의 경우 plasma에서 CFx+ 및 F+ ion이 형성되고

수많은 논문들에서는 이들 reactive ion 의 역할을 1.radical과 같은 표면반응으로 byproduct 형성 / 2. icp의 bias power의 영향을 받아 Ar ion 과 같은 bombardment 역할을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부분에서 장비 및 공정의 조건 그리고 target물질에 따라, reactive ion(CF3+ CF2+,CF+,F+ etc..)들의 역할이 바뀔 수 있는 것인지요, 아님 복합적으로 화학반응 및 sputtering 역할이 동시에 일어나되, 공정조건에 따라 dominent한 역할이 달라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정리하면 rie에서 reactive ion의 역할이 ion bombardment & sputtering, chemical reaction 둘다 맞는 말인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79] 74885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873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22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668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8013
37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1055
36 Matcher의 효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1127
35 poly식각을 위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file 1317
34 압력, 유량과 residence time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1418
33 wafer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Er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 [1] 1468
» [RIE] reactive, non-reactive ion의 역할 [1] 1521
31 터보펌프 에러관련 [1] 1592
30 식각 시 나타나는 micro-trench 문제 [1] 1620
29 [Etching 공정 중 wafer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Ring관련] [3] 1702
28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1] 1710
27 DRY Etcher Alram : He Flow 관점 문의 드립니다. [1] 1762
26 Dry etch 할때 센터와 사이드 etch rate [1] 1764
25 e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1] 1843
24 Etch공정(PE mode) Vpp 변동관련. [1] 2054
23 Gas flow rate에 따른 etch rate의 변화가 궁금합니다. [1] 2282
22 RIE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2300
21 Plasma etcher particle 원인 [1] 2420
20 PR wafer seasoning [1] 2552
19 HF/F2와 silica 글래스 에칭율 자료가 있을까요? 2661
18 Plasma Etch시 Wafer Edge 영향 [1] 313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