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Plasma 식각 test 관련 문의
2021.12.13 16:57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식각 중량변화 테스트를 O2가스와 NF3,AR(3:1) 비중으로 60분동안 200W전력 조건으로
제품은 불소고무 O-RING 입니다.
할 수 있는곳이 있을까요??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88] | 291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4121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0053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236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0731 |
27 | 식각 시 나타나는 micro-trench 문제 [1] | 1336 |
26 | e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1359 |
25 | Gas flow rate에 따른 etch rate의 변화가 궁금합니다. [1] | 1429 |
24 | 터보펌프 에러관련 [1] | 1432 |
23 | Etch공정(PE mode) Vpp 변동관련. [1] | 1710 |
22 | Plasma etcher particle 원인 [1] | 1921 |
21 | RIE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 1970 |
20 | HF/F2와 silica 글래스 에칭율 자료가 있을까요? | 2325 |
19 | PR wafer seasoning [1] | 2356 |
18 | 안녕하세요. O2 plasma etching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 | 2669 |
17 | Plasma Etch시 Wafer Edge 영향 [1] | 2702 |
16 | Dry Etching Uniformity 개선 방법 [2] | 3255 |
» | Plasma 식각 test 관련 문의 [1] | 3353 |
14 | SiO2 식각 위한 Remote Plasma Source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3515 |
13 |
SiO2를 Etching 할 시 NF3 단독 보다 O2를 1:1로 섞을시 Etching이 잘되는 이유
[1] ![]() | 3671 |
12 | DRAM과 NAND에칭 공정의 차이 [1] | 4741 |
11 | RPS를 이용한 NF3와 CF4 Etch Rate 차이 [4] | 4846 |
10 | 에칭후 particle에서 발생하는 현상 | 8999 |
9 | ICP와 CCP의 차이 [3] | 10540 |
8 |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 중 용어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1] | 11344 |
플라즈마 데이터를 기반으로 처리 결과를 자료화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일반 연구실 보다는 표준연에서 가능할지 모르겠네요. 표준연 이효창박사님 연구실 또는 핵융합연구소의 장비 지능화 연구센터 (윤정식박사) 팀에 문의해 보시면 어떨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