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2022.03.24 15:39
안녕하십니까, 반도체분야에서 공부하고 있는 비전공자 학생입니다.
최근 RIE 장비로 Etching test를 진행 중 궁금한것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RIE 장비에서 Etching rate에 크게 기여하는 부분이 dc-bias라고 알고 있습니다.
가스 유량, 압력, 그리고 power 심지어 reflected power 마저도 동일한데 dc-bias만 대략 70V나오던 것이 50V로 줄어드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혹시 이러한 간간히 일어나는 건가 싶어 질문남겨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
-
김곤호
2022.04.17 09:41
DC 바이어서 혹은 Self Bias 주제어로 검색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Self bias는 타킷이 가진 capacitor 성질에 따라서 표면에 플라즈마 전자들의 하전량에 의해 결정되게 됩니다. 여기서 cap 성질이라면 타킷의 양면, 즉 전력이 인가되는 chuck 표면의 전위와 타킷과 사이의 간극이 갖는 축전용량과 타킷 물질의 축전용량으로 크게 구성이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wafer chucking 에서 큰 변화가 없고 bias 전압이 바뀌고 있다면 chucking 특성의 변화, 즉 wafer 간극의 변화에 의해 cap이 바뀐 상태가 아닌가 의심이 됩니다. 만일 간간이 이런일이 일어난다면 chucking 상태를 감시해 보는 것도 방법일 것 같고, 또는 chucking이 잘 되고 있는지의 판단 자료로서 활용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5] | 7577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64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75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804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348 |
» |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1] | 940 |
43 | Vacuum Chamber(Etching) 내에서 열의 이동과 Byproduct 이동과의 관계. [2] | 978 |
42 |
O2 etch 후 polymer 변성에 관한 문의
![]() | 1076 |
41 |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 1098 |
40 |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1098 |
39 |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 1111 |
38 | Plasma etch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1] | 1167 |
37 | Matcher의 효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 1253 |
36 |
poly식각을 위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 | 1361 |
35 |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 1582 |
34 | wafer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Er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 [1] | 1649 |
33 | 터보펌프 에러관련 [1] | 1671 |
32 | 압력, 유량과 residence time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 1701 |
31 | 식각 시 나타나는 micro-trench 문제 [1] | 1756 |
30 |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1] | 1947 |
29 | DRY Etcher Alram : He Flow 관점 문의 드립니다. [1] | 2029 |
28 | Dry etch 할때 센터와 사이드 etch rate [1] | 2076 |
27 | e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2124 |
26 | [RIE] reactive, non-reactive ion의 역할 [1] | 2129 |
25 | Etch공정(PE mode) Vpp 변동관련. [1] | 2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