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2022.06.07 20:57
안녕하세요.
현재, 플라즈마 장비를 이용하여 표면구조 처리를 하고자 하는 대학원생 조원희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플라즈마를 주로 전공하는 과 가 아니기 때문에, 현재 연구실에 있는 플라즈마 샘플 위치에 헷갈림이 좀 있습니다.
오래전 저희 연구실에서는 O2와 Ar을 이용하여,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들거나 고분자에 Ar/O2를 혼합하여 etching을 하였었는데, 경험 하신분들이 다 졸업을 하시는 바람에, 여기에 도움을 청하게 됐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1. O2만을 이용하여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들때의 표면 위치와
2. Ar을 이용하여 etching을 할때의 표면 위치가
두 경우에 다른지가 궁금합니다.
타겟으로 하는 표면을 각각의 경우에, 챔버 내부의 RF Power와 Matching box가 연결되어 있는 부분에 두어야 하는지, 그 반대에 두어야 하는지 혹시 도와주실 분이 계신가요..?
참고로 샘플은 PDMS (고분자) 입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 7307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41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2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727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104 |
13 |
SiO2를 Etching 할 시 NF3 단독 보다 O2를 1:1로 섞을시 Etching이 잘되는 이유
[1] ![]() | 4476 |
12 | DRAM과 NAND에칭 공정의 차이 [1] | 5074 |
11 | RPS를 이용한 NF3와 CF4 Etch Rate 차이 [4] | 5454 |
10 | 에칭후 particle에서 발생하는 현상 | 9237 |
9 | ICP와 CCP의 차이 [3] | 11454 |
8 |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 중 용어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1] | 15799 |
7 | ICP 식각에 대하여... | 16733 |
6 | RIE장비 에서 WALL 과 TOP 온도 | 20268 |
5 | Dry Etch장비에서 Vdc와 Etch rate관계 [1] | 22343 |
4 | Dry Etcher 에 대한 교재 [1] | 22380 |
3 | N2 플라즈마 공정 시간에 따른 Etching rate의 변화 이유가 알고 싶어요 [2] | 23393 |
2 | Dechucking 시 wafer 상의 전하 문제 | 23839 |
1 | DC Bias Vs Self bias [5] | 30867 |
저희도 공정 경험이 없어 답을 드리기 힘들지만, 다음 키워드로 조사를 하면 계시판 답글에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공정이슈로 보입니다.
다만 관련 플라즈마에 관해서는 세정, 폴리머, 친수성, RIE 모드 또는 플라즈마 모드, self-bias 현상과 관련이 있을 것 같아 키워드 추천드립니다. 혹시 여력이 되면 음이온 플라즈마의 공간 분포의 현상에도 관심을 가져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