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반도체 회사에서 근무하는 엔지니어 입니다.


최근에 plasma system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는데, 비전공자로서는 이해가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어 도움 요청드리고자 합니다.


현상은 ICP plasma system에서 평소에는 O2를 flow하면서 plasma를 ignition합니다.

하지만, gas line purge 등과 같은 이유로 Ar을 flow하게 되면 plasma가 죽어버립니다. 이를 단순하게 해결하기 위해서 O2의 flow만 2배로 늘려주면 다시 ignition되어 사용이 가능하지만, 그 원인을 알고싶습니다.

(Ar이 flow되는 순간에도 plasma는 죽으면 안됩니다.)


제가 짧게 이해한 바로는 plasma가 ignition되는 condition이 다르고, 현재 되어 있는 값은 O2를 ignition하는 조건이므로, Ar이 유입됨에 따라 O2의 농도가 감소하여 플라즈마 형성이 되지 않았고, O2의 유량을 늘려 단위면적당 O2의 농도를 높여줌으로써 단편적으로 해결된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맞는지와 O2 유량 증가 말고 개선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있으시면 답변으로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7542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16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479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7558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9368
468 CVD품질과 RF Delivery power 관계 질문 [1] 1453
467 O2 플라즈마 클리닝 관련 질문 [1] 1472
466 CCP에서 전자밀도증가 -> 임피던스 감소 과정 질문있습니다. [3] 1472
465 CCP기반 power와 Etch rate 관계에 대해 여쭈어드립니다. [3] 1503
464 LF Power에의한 Ion Bombardment [2] 1521
463 Ar/O2 ICP 플라즈마 관하여 [1] 1548
462 압력 변화와 Ch Impedance 상관관계 질문 [1] 1550
461 플라즈마 실험을 하고 싶은 한 고등학생입니다.... [1] 1551
460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1574
459 wafer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Er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 [1] 1584
458 CVD (CCP) 공정의 Chamber seasoning과 플라즈마 밀도 [1] 1587
457 압력, 유량과 residence time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1590
456 ESC 표면 온도랑 식각률의 차이가 어떤 관계로 있는걸까요?? [1] 1593
455 ICP와 CCP에서의 Breakendown voltage [1] 1605
454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에서 이온 에너지 제어 관련 [1] 1616
453 터보펌프 에러관련 [1] 1647
452 N2 Blowing Ionizer 사용 시 궁금점 질문 드립니다. [1] 1667
451 Remote Plasma 가 가능한 이온 [1] 1677
450 RF generator 관련 문의드립니다 [3] 1681
449 안녕하세요 ICP dry etching 관련 질문사항드립니다! [1] 168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