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ision 충돌

2004.06.19 16:55

관리자 조회 수:17890 추천:225

충돌에는 탄성충돌과 비탄성충돌이 있다고 했습니다. 플라즈마의 발생은 주로 비탄성 충돌 중에 이온화 충돌 과정을 통해서 중성 입자들이 전하를 갖는 이온과 음전하의 전자로 이온화되고 이러한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서 다수의 전자들과 이온들이 공간내네 존재하는 것이 플라즈마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이온화 과정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중성입자가 이온화에 필요한 에너지가 전달되어야 할텐데 이 에너지를 전달하는 전달자가 주변에 있던 자유전자들이라 했습니다. 이들 자유전자들은 전기장하에서 쉽게 에너지를 얻으며 중성입자와 충돌하게 되는데 한번의 충돌에 의해서 중성입자들이 이론화에 필료한 에너지를 갖게 되는 것은 아니므로 잦은 충돌로 인한 에너지 전달이 필요한 것입니다. 또한 한번의 충돌에서도 효율적으로 전자가 갖고 있는 에너지가 전달되어야 할것입니다. 아울로 한번 충돌레 참여한 자유전자는 충돌 후에도 에너지를 계속 얻게되면 다음 충돌에서도 이온화 과정에서 자신의 역활이 유지될 것입니다. 이러한 조건들이 잘 형성되기 위해서는 자유전자가 에너지를 얻는 공간이 필요할 것이며 충돌 빈도가 너무 높지 않아야 할 것 입니다. 예를 들면 권투를 한다고 합시다. 이때 권투를 출근길 전철속에서 한다면 상대방을 아무리 때려도 효율적으로 때리기 힘들 것 입니다. 비록 잦은 주먹을 내더라도 상대가 가까이 있어서 상대에게 효률적인 가격이 되기는 힘듬니다. 비교적 팔길리가 제개로 펴질 공간이 마련되어야만 효율적인 공격을 이룰 수 있습니다. 대기압 출라즈마에서는 위에서 말한 충돌에 칠요한 위에 조건이 유지되기 매우 어려워 플라즈마 발생 및 유지가 어렵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61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5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35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3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739
353 고온의 플라즈마와 저온의 플라즈마의 차이 [플라즈마 물리/화학적 특성, 중성입자 거동 및 자기장 성질] [1] 4437
352 CCP/ICP 의 플라즈마 밀도/균일도 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Plasma source와 loss] [3] 4520
351 SiO2 박말 밀도와 반응성 간 상관 관계 질문 [세정 시간 및 식각 효율] [1] 4552
350 ICP plasma에서 RF bias에 대한 문의가 있습니다 [Self bias 및 플라즈마 방전 매커니즘] [2] 4567
349 진공장치 챔버내 산소 또는 수분 제거 방법에 대해 [Chemisorption과 pruege gas] [1] 4583
348 ESC 사용하는 PVD 에서 Center tap bias의 역할 4707
347 Depostion 진행 중 matcher(shunt, series) 관계 질문 [Matcher와 VI sensor] [3] 4769
346 HF + LF 사용 중, LF와 POWER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Sputtering 및 particle issue] [1] 4783
345 Dry Etching Uniformity 개선 방법 [장치 구조에 따른 공간 분포] [2] 4896
344 플라즈마 식각 공정 중 폴리머의 거동 [재료 표면 반응] [1] 4905
343 RF chamber에서.. particle(부유물) 와 RF reflect power연관성 [플라즈마 유전상수] [1] 4918
342 플라즈마 색 관찰 [플라즈마 빛과 OES신호] [1] 4975
341 RPSC 관련 질문입니다. [플라즈마 발생과 쉬스 형성, 벽면 및 시료 demage] [2] 5070
340 RIE에서 O2역할이 궁금합니다 [충돌 반응 rate constant] [4] 5285
339 Sheath 길이와 전자의 온도 및 MFP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자유행정거리, Child law sheath] [1] 5456
338 RF power에 대한 설명 요청드립니다. [Child-Langmuir sheath 및 Debye length] [1] 5698
337 챔버내 Arcing 발생 개선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Arc 형성 조건] [3] 5715
336 Matcher의 Load/Tune Position 거동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Plasma impedance와 Matcher] [2] 5737
335 매쳐에서의 load, tune에 대하여 좀 가르쳐 주세요~ [RF 전력 전달] [1] 5774
334 DRAM과 NAND 에칭 공정의 차이 ["플라즈마 식각 기술"] [1] 593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