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

2004.06.19 16:50

관리자 조회 수:15183 추천:237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은 매우 심각한 문제입니다.
특히 etching이나 deposition plasma 내에서는 etching된 후에 입자들이 빠져 나가지 못한 경우, 대개의 경우에는 표면 전하에 의한 영향이 크지 않을 까 생각합니다. 대개 이들 particle 이 형성될 때에는 전기적으로 중성을 띄고 있으나 하전 상태인 플라즈마 내에서는 쉽게 전자의 흡착에 의한 음전하를 띄게 되면서 벽등에 흡착되게됩니다. 이들은 낮은 에너지에 의해서 흡착력은 약하며, 혹은 벽을 cleaning할 때 제대로 떨어져 나가지 않고 남아 있다가 공정을 다시 시작 할 때 공간내로 나오게 되며 제조 수율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결국 이는 target 물질, 식각 대상 물질, depo 물질들과 아울러 반응기의 구조에 따르게 됩니다.

Sputter에서는 target에 입자들이 플라즈마 이온으로부터 충돌에 의한 momentum을 받아 튀어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일부는 들어오는 이온과 충돌 혹은 target 주변의 중성 개스 입자들과의 충돌로 튀어나오던 target입자들의 행로가 바뀌게 되기도 합니다. 이는 운전 압력이 낮으면 줄어들 수 있기도 합니다. 이들이 부분적으로 쌓이면 이때 nodule이 형성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아울러 sputtering은 입사 이온의 에너지, 입사 각이 중요한 변수 입니다. 이들 조건은 target layer가 sputter에 의해서 벗겨져 나가면서 항상 일정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미세하나마 부분적으로 sputtering yield가 달라질 수 있고 이 또한 nodule의 원인을 제공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를 조절 하기 위해서는 target의 orientation을 바꿀 수가 있다면 이를 조절 함으로서 해결이 가능 할 것도 같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83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8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08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7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19
293 N2 환겨에서의 코로나 방전을 통한 이온생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방전 장치의 플라즈마 성능 평가] [1] file 8944
292 Ar Gas 량에 따른 Deposition Rate 변화 [Depo radical 형성 및 sputtering] [1] 9051
291 수중 플라즈마에 대해 [수중 플라즈마의 화학 반응 현상] [1] 9151
290 Sheath와 Darkspace에 대한 질문입니다. [쉬스와 Bulk Plasma 영역] [1] 9201
289 공기정화기, 표면개질, PDP. 플라즈마응용 9337
288 ICP와 CCP는 단순히 플라즈마를 생서하는 방법인가요? [플라즈마 생성 기전, RIE 모드] [1] 9426
287 RF & DC sputtering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RF& DC bias와 matcher의 접지] [1] 9470
286 안녕하세요 교수님. [2차 전자 방출 메커니즘] [1] 9549
285 RF Power reflect 관련 문의 드립니다. [연속공정] [4] 9617
284 진공챔버내에서 플라즈마 발생 문의 [플라즈마의 형성 원리] [1] 9648
283 Ion Energy와 RF matchin관련 질문입니다. [Self bias와 matcher] [1] 9797
282 대기압 플라즈마에 대해서 9802
281 에칭후 particle에서 발생하는 현상 9838
280 저온 플라즈마 장비에 관련하여 자문을 구합니다. 9932
279 수중 방전 관련 질문입니다. [수중 방전 플라즈마의 특징] [1] 9992
278 플라즈마에 하나도 모르는 완전초보입니다.. 도와주십시오 ㅠㅠ [플라즈마의 진공과 가스 주입] [1] 10343
277 ICP 구성에서 PLASMA IGNITON시 문의 [ICP와 플라즈마 발생] [1] 10465
276 플라즈마 PIC 질문드립니다. [PIC simulation] [1] 10681
275 미국의 RF 관련 회사 문의드립니다. [플라즈마트 및 휘팅커 회사] [1] 10700
274 RGA에 대해서 1071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