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QMA에서 electron beam의 generation 과정

2004.06.19 16:04

관리자 조회 수:18131 추천:227

1. QMA에서 electron beam을 generation하는 과정을 알고 싶습니다.
2. Ion source근방에서 Lens를 상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온 빔을 평행한 빔으로 만드는 과정인지를 알고 싶습니다.
3. Energy Filter의 종류와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너무 질문이 추상적인 것 같아서 ... ^^
죄송합니다. 아직 모르는 것이 많아서.......

ps. 혹시라도 QMA를 통하여 얻어지는 signal에 대한 NIST표준을
      찾을 수 있는 site및 자료를 갖고 계신다면... 좀 얻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어떻게 좀.... 알수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이에 대한 참고 문헌을 소개해 주셔도 ....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3] 10327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71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51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1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936
214 Electrode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이차전자의 방출과 스퍼터링] 17509
213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17605
212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Collision과 Wall loss] 17618
211 불꽃이 쫒아오는 이유 17712
210 유전체 플라즈마 17731
209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상호작용 [Magnetic Confinement] 17787
208 교육 기관 문의 17843
207 충돌 17901
206 플라즈마에서 전자가 에너지를 어느 부분에서.. 17905
205 플라즈마 온도중 Tr의 의미 17962
204 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Heating mechanism과 coolant] 17972
203 플라즈마 응용분야 17980
202 Plasma Dechuck Process가 궁금합니다. 18061
201 Plasma of Bio-Medical Application 18070
200 플라즈마를 알기위해서는 어떤것을 알아두는 것이 좋.. [플라즈마 기초] 18098
199 플라즈마의 정의 18130
» QMA에서 electron beam의 generation 과정 [1] 18131
197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Capacitance와 DC ripple] 18131
196 electrode gap 18154
195 Splash 발생 및 감소 방안은 없는지요? [Splash와 TG Maker] 1819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