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 Plasma Lissajous figure에 대하여..

2004.07.02 00:31

이석근 조회 수:20746 추천:281

질문 ::

안녕하셨습니까? 저번 제주도 학회때 인사드렸던, 연세대 정보표시재료 연구실의 이응석입니다. 다름이아니라,, 논문을 읽다보니 Lissajous figure를 이용하여 대기압 플라즈마의 특성을 분석하곤 하는데,, 여러 져널을 뒤져봐도 Lissajous figure에 대하여 정확히 기술된 논문을 구하지 못하여 이렇게 부탁드립니다. 제가 알고싶은것은 원리, 실험적인 측정방법, plot하는 법등을 알고 싶은데,, 혹시 이러한 의문점에 대하여 참고할 만한 서적이나 논문이 있으면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

저희 실험실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Lissajous figure는 보통 대기압 플라즈마에서 Q-V Lissajous 곡선을 통하여 그 특성을 알수 있는데 Q-V Lissajous 란 인가된 전압에 따라 하전되는 전하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Lissajous  곡선을 이용하여 대기압플라즈마의 특성을 알 수 있는데 먼저 Lissajous  곡선을 평행사변형이라 가정하고 소모에너지, 소모 전력를 구할수 있습니다. 또한 대기압플라즈마 중에서도 DBD(Dielectric barrier Discharge)는 arc방전을 억제하고 스트리머를 발생하기 위해 유전체를 전극사이에 삽입하게 되고, 따라서 반응기에는 공기의 정전용량과 유전체의 정전용량이 존재하게 됩니다. 이때 Q-V Lissajous 곡선을 사용하면 인가전압의 변화에 따라 공간내에 절연 파괴가 일어나기 전 전하량의 변화를 통하여 반응기 전체 정전용량을 구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절연파괴가 일어난 후  전하량의 변화를 통하여  절연체의 정전용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Q-V Lissajous 곡선은 전류를 적분하여 전하량 Q를 통하여 얻을수 있습니다.

더 자새한 사항은
- Manheimer, Sugiyama, Stix " Plasma Science and The Enviroment ", AIP PRESS, 1997
- T. C. Manley " The Characteristics of The Ozonator Discharge", Trans. Elctrochem.Soc. 1943
- 박봉경, 김윤환, 장봉철, 조정현, 김곤호 "반응기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대기압 DBD반응기의 동작특성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440-448, 10(4), 2001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0] 10180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437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08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12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280
133 형광등과 플라즈마 20375
132 석영이 사용되는 이유 [플라즈마 내식성과 불순물 제어] [1] 20419
131 안녕하세요. GS플라텍 지성훈입니다. [Enthalpy probe] [1] 20477
130 플라즈마 matching [Heating mechanism, matching] 20495
129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관한 문의 [Electric field와 breakdown] [1] 20498
128 Sputter 시에 Gas Reaction 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20532
127 Langmuir probe tip 재료 20540
126 RIE장비 에서 WALL 과 TOP 온도 20563
125 wafer 전하 소거: 경험 있습니다. 20591
124 CCP형, 진공챔버 내에서의 플라즈마... [플라즈마 확산 및 전력정합 영역 제어] [1] file 20624
123 확산펌프 [DP 변수 검토] 20651
» Lissajous figure에 대하여.. 20746
121 Three body collision process 20777
120 교재구입 20839
119 이온주입량에 대한 문의 20888
118 IEDF EQP에 대한 답변 file 20897
117 plasma cleanning에 관하여 [Sputtering과 Etch] 20960
116 플라즈마 진단법에 대하여 [플라즈마 진단과 Spectroscopy] [1] 20966
115 대기압 플라즈마 진단 [탐침을 통한 대기압 진단의 문제점] 21086
114 플라즈마란? [제 4의 물질 상태] 2114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