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서울대학교 황농문 교수님 연구실 석사과정 김수종입니다.

제가 하고 싶은 것을 대략적으로 설명드리면, nano-size dust들의 크기를 조절에서 박막 증착의 물성을 확인하려고 하는데, 이 nano particle을 어떤 방식으로 조절할까 고민하던 중 흥미있는 논문을 읽게 되었습니다.

제가 논문을 이해한바로는, DC probe와 Current probe와 같은 간단한 장비를 이용해서, third Harmonics와 fundamental amplitude를 읽어들여서, nano particle의 nucleation, accumulation, coagulation, 세 단계를 실시간으로 잡아낼 수가 있다고 합니다.  이를 이용해서 nano particle 의 size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제가 꼭 필요한 부분에 관한 내용입니다.

사실, ICP 장비를 다루고는 있지만, 플라즈마 및 장비에 대해서 지식이 부족해서 장비 업체에 연락을 먼저 해 봤지만 잘 모르겠다고 답변을 받았고, 저희 연구실과 같이 공동 연구를 하는 쪽에도 여쭤봤지만 확답은 잘 못 받았습니다.

이미 그 논문을 쓴 해당 연구실에 관련한 궁금증에 대해서 질문을 메일로 보냈습니다.

하지만, 혹시 여기에서도 좋은 조언을 얻을 수 있을까 하는 희망을 가지고 질문 올립니다.


혹시 필요하실까봐, 제가 읽은 짧은 논문 하나와, 그 연구실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된 document를 보내드립니다.

Document에서 제가 관심 있어하는 부분은 50쪽 Figure II.1과 59쪽 II.3.b Vdc and 3H probes에 관한 내용입니다.

참고할 만한 작은 조언이라도 부탁드립니다.


010-4188-1840

aprilbest@snu.ac.kr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7542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16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48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7559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9369
668 정전척의 chucking voltage 범위가 궁금합니다. [1] 458
667 Self bias 내용 질문입니다. [1] 461
666 진공수준에 따른 RF plasma 영향 관련 질문 [1] file 481
665 간단한 질문 몇개드립니다. [1] 489
664 해수에서 플라즈마 방전 극대화 방안 [1] file 490
663 주파수 변화와 Plasma 온도 연관성 [1] 494
662 Polymer Temp Etch [1] 498
661 전쉬스에 대한 간단한 질문 [1] 500
660 연속 Plasma시 예상되는 문제와 횟수를 제한할 경우의 판단 기준 [1] file 500
659 전자기장 및 유체 시뮬레이션 관련 [1] 501
658 Bais 인가 Cable 위치 관련 문의 [1] 501
657 [재질문]에칭에 필요한 플라즈마 가스 [1] 510
656 OES를 이용한 Gas Species 정량적 분석 방법 [1] 513
655 Frequnecy에 따라 플라즈마 영역이 달라질까요? [1] 515
654 Interlock 화면.mag overtemp의 의미 523
653 활성이온 측정 방법 [1] 529
652 프리쉬스에 관한 질문입니다. [1] 529
651 플라즈마 진단 OES 관련 질문 [1] 529
650 수중 속 저온 플라즈마 방전 관련 질문 드립니다 [2] file 531
649 Co-relation between RF Forward power and Vpp [1] 53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