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공정 과정 및 장치 상태]

2009.03.20 12:36

기계공학사 조회 수:26859 추천:279

RF에 관심이 많은 학구파 기계공학 엔지니어 입니다.

제목에서와 같이 공정챔버에서의 아킹원인과 노이즈에 관해 궁금한 것이 있어서 입니다.

우선 아킹(번개 등)의 원인이 전하차에 의해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저희 공정챔버의 경우 기존 제품은 나름대로 양호하나, 현재 개조된 챔버에 대해서는

상당한 아킹과 노이즈를 겪고 있습니다.

우선, 개조사양은

챔버의 체적이 약 15% 커짐(고진공상태;100mTorr이하)

상부 안테나와 접하는 세라믹 순도가 99.98->99.99%로 변경(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임)

상부 안테나의 상부를 커버하는 알루미늄재질의 커버가 기존대비 약 10% 늘어남.

RF 구동 조건은

상부 13.56Mhz 약 5,000W
하부 13.56Mhz 약 7,000W

이며, 접지는 제3종 일것으로 생각됩니다.

여기서 아킹의 원인과 노이즈가 발생할 만한 것이 있을 수 있는지?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3] 103279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71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51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1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937
814 ICP 플라즈마에 관해서 [2] 32613
813 RF에 대하여... 32606
812 DC Bias Vs Self bias [전자 에너지 분포] [5] 32071
811 RF Plasma(PECVD) 관련 질문드립니다. 31935
810 [Sputter Forward,Reflect Power] [Sputter와 matching] [1] 31651
809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립니다. file 30596
808 플라즈마 밀도 [Langmuir 탐침과 플라즈마의 밀도] 30552
807 OLED에서 SF6와 CF4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Etching] [1] 30332
806 PECVD에서 플라즈마 demage가 발생 조건 [쉬스와 플라즈마 밀도에 의한 damage] 30127
805 matching box에 관한 질문 [ICP Source 설계] [1] 30062
804 플라즈마의 정의 29689
803 압력과 플라즈마 크기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Mean free path] [1] 29585
802 물질내에서 전하의 이동시간 29471
801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장치 [Ozone과 Plasma] 29294
800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관계 29112
799 Arcing [전하 축적에 의한 방전 개시] [1] 28977
798 반도체 관련 질문입니다. 28666
797 sheath와 debye sheilding에 관하여 [전자와 이온의 흐름] 28431
796 플라즈마 물리학책을 읽고 싶습니다. [플라즈마 도서 추천] 28416
795 esc란? 2829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