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Plasma를 이용하여 ALD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어느 순간부터 plasma를 발생시키게 되었을 때 처음 발생시킬 때에는 플라즈마 빛의 세기도 매우 강하고 잘 생성이 된다고 생각이 들었는데 그 이후로 발생시킬 때는 플라즈마의 색깔도 조금 변하고 세기가 많이 약해집니다.

 

NH3, N2 plasma를 최근 이용하였을 때 계속해서 그러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혹시 원인을 알고 계셔서 알려주신다면 정말 감사드립니다 ㅠㅠ

 

아님 개인적인 소견이라도 말씀해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ㅠㅠ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4] 8899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298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967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147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9618
129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방전 기전] [1] 707
128 CCP 설비 Capacitance 및 Impedance 변화에 따른 Vpp 변동성 문의 [플라즈마 회로 설계] [2] 706
127 파장길이와 동축 케이블 길이 관련 문의드립니다 [Matcher 기능] [2] 704
126 self bias [쉬스와 표면 전위] [1] 704
125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플라즈마 생성 및 방전] [1] 704
124 안녕하세요, RPS나 DEPOSITION 간에 발생하는 ELECTRON TEMPERATURE가 궁금합니다. [플라즈마 충돌 반응] [1] 703
123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697
122 Interlock 화면.mag overtemp의 의미 691
121 ISD OES파형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SiC 식각과 Ring 교체 주기 및 모니터링 방법] [1] 682
120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Cleaning 후 재활용] [1] 681
119 Bias인가 Cable 위치 관련 문의 [플라즈마 분포 관찰] [1] 678
118 Chamber impedance 범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676
117 Plasma에 의한 분해 및 치환 반응(질문) [Powder] [1] 674
116 안녕하세요 자문을 구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E x B drift] [1] file 671
115 Fl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Sputter setup 및 구동 원리] [1] 668
» PEALD장비에 관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장비 세정 및 관리 규칙] [1] 663
113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VPS] [1] 646
112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대면 재료의 전기적 특성와 플라즈마 쉬스의 변화] [3] 645
111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Self bias와 ambipolar diffusion] [1] 641
110 Non-maxwellian 전자 분포의 원인 [Druyvesteyn distribution 이해] [1] 63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