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n/Electron Temperature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2004.06.19 16:20
플라즈마를 구분함에 있어서 저온 플라즈마와 고온 플라즈마를 구분하기 위한 절대 온도의 개념이 설정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플라즈마의 경우 저온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핵융합과 같은 플라즈마의 경우 전자의 온도가 수 keV 가 됨으로 고온 플라즈마라 합니다. 산업용 플라즈마는 대부분 전자 온도가 10 eV 미만이며 이온의 온도는 이보다 매우 낮아 일반적으로 방안 온도와 유사하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실측된 이온 전자온도 값도 전자 온도의 1/10 미만의 크기를 보여줍니다.
이에 반해서 핵융합로 같이 플라즈마 구속이 좋은 경우 전자의 온도와 이온의 온도가 모두 수 keV가 되니 고온이라 할수 있으며 핵융합로 자체가 고온 고밀도 플라즈마에 대한 연구가 목적임으로 플라즈마의 발생과 구속 및 가열을 통하여 플라즈마의 온도를 향상 시킴니다. 산업용 플라즈마에서는 전자의 온도 상승이 대부분의 원치 않는 처리 결과를 야기함으로 낮은 전자온도의 플라즈마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또한 효율적으로 플라즈마가 구속되지 않음으로 전자 및 이온의 온도가 낮습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43] | 582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286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3122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4500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5113 |
225 | plasma와 arc의 차이는? | 23077 |
224 | DC glow discharge | 22900 |
» |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 22762 |
222 | floating substrate 에서 sheath 형성 과정 의문점 [1] | 22445 |
221 | 플라즈마 온도 질문 + 충돌 단면적 | 21814 |
220 | 플라즈마내의 전자 속도 [1] | 21597 |
219 | manetically enhanced plasmas | 21571 |
218 | 플라즈마 실험 | 21280 |
217 | 저온 플라즈마에서 이온, 전자, 중성자 온도의 비평형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서... [1] | 21166 |
216 | Breakdown에 대해 | 21008 |
215 | CCP 에서 Area effect(면적) ? | 20972 |
214 | 플라즈마란? | 20936 |
213 | 교재구입 | 20650 |
212 | 압력과 플라즈마 크기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1] | 20584 |
211 | RF plasma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 20574 |
210 | 이온주입량에 대한 문의 | 20567 |
209 | Three body collision process | 20500 |
208 | 확산펌프 | 20355 |
207 | remote plasma에 대해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1] | 20219 |
206 | 형광등과 플라즈마 | 200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