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2009.11.17 16:06
안녕하세요. 전남대학교 정세훈이라고 합니다.
몇가지 궁금한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a) the typical energy of sputtered Cu atoms if the Ar ion has an energy of 500 eV.
b) the typical energy of sputtered Cu atoms if the Ar ion has an energy of 5000 eV
Cu원자의 에너지값이 어떻게되나요? 여러논문을 검색해보았는데
thompson distribution E/(E+Eb) 에 대해서는 나오는데.. 계산이 잘 안돼서요..
--------------------
위의 질문에 대한 참고 자료를 군산대학교 주정훈교수님께서 올려 주셨습니다. 그림과 같이 Kr 입자 조사에 의한 스퍼터링된 Cu의 에너지 및 이탈 속도 함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Ar과 조사 입자의 질량 차이가 있을 뿐 이를 고려한다면 거의 현상은 유사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 자료는 교재에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18] | 7540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48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7 |
»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3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20 |
145 | RF 플라즈마와 Microwave 플라즈마의 차이 | 94463 |
144 | Plasma source type | 78744 |
143 | Silent Discharge | 64512 |
142 | 대기압 플라즈마 | 40360 |
141 | ICP 플라즈마에 관해서 [2] | 31555 |
140 |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장치 | 28740 |
139 | DBD란 | 27397 |
138 | PECVD 매칭시 Reflect Power 증가 [2] | 24873 |
137 | 플라즈마가 불안정한대요.. | 24435 |
136 | ICP dry etch 장비에서 skin depth가 클수록 좋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1] | 24088 |
135 | [질문] ICP plasma 를 이용하여 증착에 사용하고 있는데요. [3] | 23564 |
134 | 광플라즈마(Photoplasma)라는 것이 있는가요? | 23179 |
133 | CCP 방식에 Vdc 모니터링 궁금점. | 23156 |
132 | No. of antenna coil turns for ICP | 22964 |
131 | 입력전력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변화 (ICP/CCP) | 22863 |
130 | CCP/ICP , E/H mode | 22580 |
129 | 플라즈마의 발생과 ICP | 21935 |
128 | glass 기판 ICP 에서 Vdc 전압 | 21582 |
127 | 대기압플라즈마를 이용한 세정장치 | 21476 |
126 | 상압 플라즈마 관련 문의입니다. [1] | 214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