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 Plasma DBD plasma [Excitation과 Power Current]

2004.06.21 15:13

관리자 조회 수:18208 추천:283

DBD plasma

플라즈마 반응시 빛이 보이게 됩니다. 우선 빛의 정체를 보면, 빛을 방출하게 되는 경우는 원자가 여기되었다가 기저 상태로
낮아 지면서 나오는 에너지 차이가 우리가 인지할 수 있는 파장대의 빛으로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이 에너지는  이온화 반응에너지
보다 낮아 이온화 반응과 함께 진행됨으로 빛이 보이면 이온화가 진댕되고 있겠다고 생각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지금 실험하고 있는
상황은 아마도 puls corona 실험을 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혹은 DBD실험일 것입니다. 두 경우 모두 가시적으로 빛이 관찰되지 않는
다면 puls형태의 플라즈마 혹은 DBD플라즈마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corona방전이나, DBD의 경우나 외부
ground전극의 일부가 유리와 같은 유전체로 만들어져 있다고 해서 플라즈마를 만들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오히려 반응기에 제대로
power가 전달되고 있는 가를 점검하여야 할 것입니다.
혹은 빛이 약해서 관찰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주변을 어둡게 하고 실험을 해보기 바랍니다. 이런 경우에는 power electrode
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해 보는 방법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물론 displacement current를 제거를 하고 자료를 관찰해야 할
것입니다.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93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8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38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8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46
153 상압 플라즈마 관련 문의입니다. [열용량과 방전 전력에 따른 냉각 장치] [1] 21751
152 대기압플라즈마를 이용한 세정장치 21674
151 Xe 기체를 사용한 플라즈마 응용 21420
150 Lissajous figure에 대하여.. 20749
149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관한 문의 [Electric field와 breakdown] [1] 20507
148 DBD 플라즈마와 플라즈마 impedance [DBD plasma, Matching] 20369
147 에쳐장비HF/LF 그라운드 관련 [1] 20049
146 상압플라즈마에서 온도와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상압 플라즈마, Remote Plasma] 19913
145 대기압 상태의 플라즈마 측정 19842
144 AC 플라즈마에서의 전압/전류 형상… [Plasma Current와 dielectricity] 19580
143 기중방전에서 궁금한것이 19283
142 RF를 이용하여 Crystal 세정장치 [RF 방전과 이온 에너지] [1] 19162
141 surface wave plasma에 대해서 [Microwave와 electron temperature] [1] 18799
» DBD plasma [Excitation과 Power Current] 18208
139 Plasma Dechuck Process가 궁금합니다. 18055
138 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Heating mechanism과 coolant] 17962
137 유전체 플라즈마 17719
136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17604
135 좁은 간격 CCP 전원의 플라즈마 분포 논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전력 인가와 플라즈마 밀도] [2] 17052
134 CCP의 electrod 재질 혼동 [PECVD와 화학물 코팅] 1665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