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Discharge Plasma 방전수 활성종 중 과산화수소 측정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2022.08.03 16:16
안녕하세요,
플라즈마를 방전시킨 방전수에 활성화된 다양한 산소 및 질소 활성종의 정량 분석을 하고자 합니다.
그 중, 과산화수소의 정량 분석을 위해 hydrogen peroxide assay kit 을 구매를 했는데, 분석 시 시료의 적정 ph가 7~8 이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저의 시료인 방전수는 ph가 2.6 정도로 산성이라 완충용액을 이용해 ph를 높여야 하는 상황입니다.
질문은 두 가지 입니다.
1. kit 에 동봉되어 있는 buffer solution 의 ph는 7.4 인데, 이를 이용해 ph 를 높인다면 엄청난 양을 사용해야하는데, 그렇다면 좋은 방법이 아닌 것 같습니다. 혹시 추천하시는 방법이 있으신지 여쭤봅니다.
2. 플라즈마 방전을 시키게되면 시료에는 산소 및 질소 이온과 라디칼이 있는 풍부한 상태인데, 수산화기를 포함한 buffer 를 사용한다면 이들과 반응해 과산화수소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염려됩니다. 영향이 없을지 여쭤봅니다.
혹여 답변을 해주시기 힘드시면 관련 분야를 연구하시는 전문가 분을 소개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4] | 7576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42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66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8012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247 |
126 |
F/S (Faraday Shield)
![]() | 21340 |
125 | Xe 기체를 사용한 플라즈마 응용 | 21277 |
124 | ccp-icp | 21220 |
123 | Lissajous figure에 대하여.. | 20562 |
122 |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관한 문의 [1] | 20256 |
121 | DBD플라즈마와 플라즈마 impedance | 20160 |
120 | 상압플라즈마에서 온도와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 19710 |
119 | 에쳐장비HF/LF 그라운드 관련 [1] | 19709 |
118 | 대기압 상태의 플라즈마 측정 | 19692 |
117 | AC 플라즈마에서의 전압/전류 형상... | 19297 |
116 | 기중방전에서 궁금한것이 | 19134 |
115 | RF를 이용하여 Crystal 세정장치 [1] | 18844 |
114 | surface wave plasma 에 대해서 [1] | 18449 |
113 | DBD plasma | 18045 |
112 | 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 17719 |
111 | Plasma Dechuck Process가 궁금합니다. | 17495 |
110 | 유전체 플라즈마 | 17489 |
109 |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 17484 |
108 | 좁은 간격 CCP 전원의 플라즈마 분포 논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 | 16547 |
107 | CCP 의 electrode 재질 혼동 | 16419 |
해당 주제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의 플라즈마 응용기술 내 '미래선도 플라즈마 농식품 융합 기술 개발 연구'팀에 문의 드려 보시기 바랍니다. 조언을 받으실 수 있을 것 같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