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P 플라즈마의 발생과 ICP

2004.06.19 16:05

관리자 조회 수:22323 추천:236

일단 플라즈마의 발생 mechanism에 대해서는 잘 알고 계시리라 가정하고 이야기를 시작합시다. 문제를 간단하게 정리해 봅시다. 일단 플라즈마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충돌에 의한 에너지전달이 있어야 합니다. 전자는 가벼워 쉽게 가속되는 이유로 전자가 에너지 전달자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들 전자에 에너지를 주기 위해서는 전기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들 전자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받고 충돌에 의해 에너지를 중성입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한다면 그 plasma generation mechanism은 효율적일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들 전자에게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전자에 인가되는 전기장이 효율적으로 형성되면 좋을 것입니다. 또한 전자는 전기장을 따라서 움직임으로 전기장의 경로는 플라즈마 발생에서 전자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중요한 인자입니다. 일단 diode type의 반응기에서 DC 방전의 경우 전기장의 경로는 전극간에 형성됩니다. 따라서 전자는 전극을 향해 움직이게 되고 전극으로 손실됨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만일 전자가 전극에 충돌하기 전에 전극의 극성을 바꾸게 되면 전자가 두 개의 전극사이에서 오랬동안 가속, 충돌의 반응을 격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전자의 가속은 역시 경로가 길어 보다 효율적으로 전자를 가속시키고 충돌시키기 위한 여지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 만일 전자가 전극과 무관한 경로를 움직이고 이들 경로가 반응기의 벽과 떨어진 공간 내에 형성되어 있다면 더욱 효율적일 수 있음을 쉽게 예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전기장이 전자의 가속에 필요하다고 알고 있고 전위차를 이용하여 전기장을 형성하는 것 외에도 공간내의 자속이 시간적 변화를 만들면 그 공간 주변으로 전기장이 형성됨을 알고 있습니다. 이는 Ampere's law와 물려서 도선에(antenna) 전기를 흘리면 도선 주변으로 자기장이 형성되고 도선의 전류를 시간에 따라 변화하면 이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도 변하고 이에 의해 유도 전기장이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기장은 공간 내에 분포하게 되며 이는 반응기의 형태나 전극의 크기와 무관하게 공간내에 형성되게 됩니다. 따라서 이들 전기장의 경로는 보다 효율적으로 전자가 움직이고 또한 시간에 따라 방향을 바꾸어 공간 내에서 오랬 동안 가속, 충돌에 반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한 plasma 발생 방법을 ICP 라고 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0] 102316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59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25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34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579
33 ICP 플라즈마에 관해서 [2] 32580
32 [질문] ICP plasma 를 이용하여 증착에 사용하고 있는데요. [Sheath model과 bias] [3] 24921
31 플라즈마가 불안정한대요.. [압력과 전력 조절] 24655
30 No. of antenna coil turns for ICP [안테나 turn 수와 플라즈마 발생 효율] 23324
» 플라즈마의 발생과 ICP 22323
28 ccp-icp 21946
27 glass 기판 ICP 에서 Vdc 전압 21923
26 F/S (Faraday Shield) file 21836
25 ICP TORCH의 냉각방법 [냉각수와 와류] 16014
24 CCP/ICP 의 플라즈마 밀도/균일도 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Plasma source와 loss] [3] 4489
23 Ar과 O2 plasma source에 따른 ignition condition에 대하여 질문 있습니다. [Step ionization, Dissociative ionization] [1] 3044
22 RF 주파수와 공정 Chamber 크기의 상관관계 [Standing wave effect] [1] 2917
21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충돌 단면적 및 반응 계수] [2] 2770
20 교수님 안녕하세요, icp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Self bias 및 ICP E/H mode] [2] 2685
19 안녕하세요 ICP dry etching 관련 질문사항드립니다! [N2 플라즈마] [1] 2405
18 유도결합 플라즈마 소스 질문!!!? [전기장 내 입자 거동] [2] 2128
17 ICP reflecot power [Insulator와 rf leak] [1] 2047
16 ICP lower power 와 RF bias [Self bias, Floating sheath] [1] 2021
15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Faraday shield] [1] 1978
14 Ar/O2 ICP 플라즈마 관하여 [ICP match impedance] [1] 1963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