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2009.03.20 12:36
RF에 관심이 많은 학구파 기계공학 엔지니어 입니다.
제목에서와 같이 공정챔버에서의 아킹원인과 노이즈에 관해 궁금한 것이 있어서 입니다.
우선 아킹(번개 등)의 원인이 전하차에 의해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저희 공정챔버의 경우 기존 제품은 나름대로 양호하나, 현재 개조된 챔버에 대해서는
상당한 아킹과 노이즈를 겪고 있습니다.
우선, 개조사양은
챔버의 체적이 약 15% 커짐(고진공상태;100mTorr이하)
상부 안테나와 접하는 세라믹 순도가 99.98->99.99%로 변경(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임)
상부 안테나의 상부를 커버하는 알루미늄재질의 커버가 기존대비 약 10% 늘어남.
RF 구동 조건은
상부 13.56Mhz 약 5,000W
하부 13.56Mhz 약 7,000W
이며, 접지는 제3종 일것으로 생각됩니다.
여기서 아킹의 원인과 노이즈가 발생할 만한 것이 있을 수 있는지?
댓글 2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48775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52793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1] | 60674 |
87 |
반도체 CVD 공정의 ACL공정에서 RF Reflect Power에 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 | 37497 |
86 | 안녕하세요. RF Ma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33941 |
85 | Ar plasma와 O2 plasma 차이??(Matching Network) | 33799 |
84 | matching box에 관한 질문 [1] | 27644 |
83 | 플라즈마 상태와 RF MATCHING관계 문의 사항 | 26407 |
82 | Ground에 대하여 | 26061 |
81 | Arcing [1] | 25996 |
80 | 플라즈마 챔버 의 임피던스 관련 [1] | 25990 |
» |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2] | 25397 |
78 | 스퍼터 DC 파워의 High 임피던스가 무슨 의미인가요? | 25063 |
77 | RF 플라즈마 챔버 내부에서 모션 구동 [1] | 24309 |
76 | dechucking시 Discharge 불량으로 Glass 깨짐 [3] | 24301 |
75 | esc란? | 24261 |
74 | ICP Source에서 RF Source Power에 따른 위상차와 임피던스 변화 문의 [1] | 24084 |
73 | Reflrectance power가 너무 큽니다. [1] | 24006 |
72 |
반도체 CVD 공정의 ACL공정에서 RF Reflect Power에 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 | 23370 |
71 | HVDC Current '0'으로 떨어지고, RF Bias Reflect (RF matching이 깨지는 현상) 발생 | 22779 |
70 | 안녕하세요. O2 Plasma 관련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 22500 |
69 | MATCHING NETWORK 에서 BACKWARD BIAS 가 생성되는 이유가 무엇 입니까? [3] | 22137 |
68 | Dry Etcher 내 reflect 현상 [2] | 21429 |
- 참고로, 저희 연구실의 Q and A 란은 토의의 장을 제공하는 곳 입니다. 따라서 게시판 운영 원칙에서 이미 밝혔듯이 문의자나 토론자 본명과 연락처를 말씀해 주시고 논의에 합류하시기를 부탁드리고 있습니다. 이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 신뢰를 갖기 위해서 이니, 익명의 토론은 삼가하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