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거동
2022.09.20 20:49
안녕하세요. PECVD 공정 엔지니어로서 RPSC의 Cleaning 거동을 이해하고자 질문드립니다.
우선 CCP 형태 Chamber에서 Chamber 내 NF3가 공급되어 SiNx가 식각되는 Cleaning 공정을 가정하겠습니다.
Chamber Throttle Valve Position이 고정되고 Pump는 100% 성능으로 작동할 때, NF3를 공급하면 Pressure 곡선은 아래와 같습니다.
Chamber 내에선 SiNx와 NF3가 반응하여 SiF4가 생성됩니다.
Throttle Valve, Pump 상태는 동일하므로 배기되는 Output Volume Flowrate는 항상 같다고 가정했습니다.
Chamber 내 압력이 변동하되 Chamber Volume은 일정하므로, Chamber 내 Density는 Pressure에 비례할 것입니다. 즉, Fluid Density는 상기 곡선 상황에서 변동하는 Parameter입니다.
이때, 궁금한 것은 Residence Time 추이가 어떻게 변할지 입니다.
Residence Time은 Chamnber 내 Fluid가 평균적으로 얼마나 오래 머무르고 가는지 의미합니다.
추론① 배기되는 Output Volume Flowrate, Chamber Volume이 일정하므로 Residence Time은 항상 동일하다.
추론② Input Volume Flowrate가 증가하더라도, 추론①대로 Residence Time은 항상 일정하다. → 이 경우, Input Volume Flowrate가 증가했음에도 Residence Time이 동일한 건 직관적으로 이상하지만, Density(혹은 Pressure)가 증가하므로 적절한 추론일 것이다.
추론③ Chamber 내 Fluid Density와 Throttle Valve를 통해 배기되는 Fluid Density는 동일하다.
상시 세 가지 추론이 적절한지 궁금합니다. 물론 정밀한 수준으로 정확한지를 따지기보단, 큰 개념으로 공정을 바라볼 때 위의 추론처럼 이해하는 것이 적절한지가 궁금합니다.
항상 질문에 친절하게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79] | 74885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736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224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68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015 |
17 |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 932 |
16 | Vacuum Chamber(Etching) 내에서 열의 이동과 Byproduct 이동과의 관계. [2] | 826 |
15 |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795 |
14 |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1] | 777 |
13 | RIE 공정시에 형성되는 두 효과를 분리해 보고 싶습니다. [1] | 740 |
12 | etch defect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714 |
11 |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1] | 508 |
10 |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 501 |
9 | Polymer Temp Etch [1] | 368 |
» |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거동
[1] ![]() | 314 |
7 | Si 표면에 Ar Plasma Etching하면 안되는 이유 [1] | 274 |
6 |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 254 |
5 |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215 |
4 |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1] | 190 |
3 | RIE 식각공정중 발생하는 가스를 예측할 수 있는 메카니즘에 대해 질문하고싶습니다. [1] | 114 |
2 | 메틸기의 플라즈마 에칭 반응 메커니즘 [1] | 31 |
1 |
[재질문]에칭에 필요한 플라즈마 가스
![]() | 2 |
TVP (throttle valve Position) 변화도 관찰해 보세요. 일반 진공 이론에서 conductance 개념도 고려해 보시면 residence time , 체류 시간에 대한 개념적 접근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