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에서 이제 막 스퍼터링 관련 연구를 시작하게 된 학생입니다.

 

작은 진공 챔버만 있고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가장 기본적인 스퍼터링 시스템을 만들고자 하는데요, Fluoride (LaF3, YF3 등)를 스퍼터링을 할 때에 안전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리고자 글을 남깁니다. 스퍼터링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여러 프로시져 등은 여러군데서 찾아볼 수 있지만, 그 이전에, 실험 환경의 안전 시스템은 어느정도로 구축해야될 지 가늠이 서질 않습니다.

 

예를 들어 Ar 가스를 사용하여 약 지름이 5cm인 YF3 원형 타겟을 스퍼터한다고 가정을 하면, 

1. 타겟으로부터 F와 Yttrium 성분이 경우에 따라 어떤 형태로 떨어져나올 수 있는지, (일반적으로 Ar양이온이 충돌하여 YF3화합물의 형태로 그대로 떼어낼 것 같으나, 만약 어떠한 이유로 F가 별도로 분리되는? 그런경우도 있을 수 있을까요?)

2. 그 외 어떠한 이유로 F성분이 챔버 Leak이나 펌프 배기 등의 문제로 밖으로 샐 경우에 인체에 해를 심각하게 가할 정도가 될 수도 있는 지,

 

위 2가지와 관련해서 전문가의 조언을 좀 구할 수 있을까요? 아무래도 Fluorine성분이 있다보니 마음에 걸립니다.

관련 안전 담당부서와 논의를 할 것이긴 합니다만 전문성이 부족할 수도 있을 것을 대비해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연구실에는 챔버 1개용으로 충분한 Fumehood와 일반적인 반도체회사에서 사용하는 호흡기와 필터정도는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9] 10037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19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083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281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4427
133 핵융합 질문 [NFRI 국가핵융합 연구소] [1] 789
132 간단한 질문 몇개드립니다. [공정 drift와 database] [1] 787
131 플라즈마 기본 사양 문의 [형광등 동작 원리] [1] 784
130 self bias [쉬스와 표면 전위] [1] 783
129 Non-maxwellian 전자 분포의 원인 [Druyvesteyn distribution 이해] [1] 781
128 Frequency에 따라 플라즈마 영역이 달라질까요? [전자와 이온의 열운동 특성과 반응 거리] [1] 780
127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플라즈마 생성 및 방전] [1] 773
126 활성이온 측정 방법 [한국 기계 연구소 송영훈 박사팀] [1] 772
125 전자기장 및 유체 시뮬레이션 관련 [핵융합 연구소] [1] 770
124 조선업에서 철재절단용으로 사용하는 가스 프라즈마에 대한 질문 [열플라즈마와 "플라즈마 금속학"] [1] 770
123 ICP에서의 Self bias 효과 [DC offset voltage와 floating potential] [1] 751
122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Cleaning 후 재활용] [1] 749
121 안녕하세요 자문을 구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E x B drift] [1] file 735
120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735
119 PECVD 고온 공정에서 증착 막으로의 열전달 관련 문의 드립니다. [플라즈마 분포와 확산] [1] 734
118 Bias인가 Cable 위치 관련 문의 [플라즈마 분포 관찰] [1] 727
117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VPS] [1] 726
116 Plasma에 의한 분해 및 치환 반응(질문) [Powder] [1] 721
» Fl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Sputter setup 및 구동 원리] [1] 719
114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대면 재료의 전기적 특성와 플라즈마 쉬스의 변화] [3] 71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