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플라즈마 응용연구실에서 공부하고있는 우병준 이라고 합니다.

 

 plasma modeling 에 대해서 공부를 하던 도중, 

 

SIOC 박막을 CF4 plasma 를 이용해서 식각하는 과정에서, plasma modeling 이 들어가게 되었는데,

 

Langmuir probe 의 ion density 와 Te 를 갖고 F 의 flux 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 여러 논문을 서칭했습니다만, 감이 잘 잡히지 않아서 어려움을 겪고있습니다.

 

0-dimension plasma modeling 을 하기 위해서 고려해야하는 reaction table 의 여러 반응들을 어떻게 기준을 잡아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예를들어, F의 flux 를 결정하는 조건들이 있을텐데 그 조건에 대한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다른 논문에서 진행했던 방식을 그대로 가져와서 하는건지, 아니면 제가 modeling 의 기준을 잡아야하는건가요 ? 

 

처음하는 분야이다 보니 많이 막막해서, 어떤 방향으로 공부를 해 나가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5] 10381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75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63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7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6086
41 Frequency에 따라 플라즈마 영역이 달라질까요? [전자와 이온의 열운동 특성과 반응 거리] [1] 798
40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Cleaning 후 재활용] [1] 787
39 Microwave & RF Plasma [플라즈마 주파수와 rate constant] [1] 776
38 안녕하세요 자문을 구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E x B drift] [1] file 770
37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VPS] [1] 756
36 Fl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Sputter setup 및 구동 원리] [1] 753
35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Self bias와 ambipolar diffusion] [1] 735
34 코로나 방전 처리 장비 문의드립니다. [광운대 최은하 교수님] [1] 725
33 스퍼터링 Dep. 두께 감소 관련 문의사항 [플라즈마 이온주입 연구실] [1] 720
32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플라즈마 생성 조건 및 성질] [1] 702
31 (PAP)plasma absorption prove 관련 질문 [PAP 진단법] [1] 701
30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상압 플라즈마 방전 메커니즘과 특성] [1] 681
29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방전과 에폭시] [1] file 681
28 플라즈마 공정 후, 친수성으로 변한 표면의 친수성 제거 [공정 조절과 CF4 계열 플라즈마] [1] 680
27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639
26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상압 플라즈마 임피던스, matching] [1] 613
25 plasma off시 일어나는 현상 문의드립니다. [DC 바이어스 전압과 쉬스 전기장] [1] 604
24 RF sputter 증착 문제 질문드립니다. [OES 진단과 sputter yield] [1] file 599
23 Plasma 장비 소재 특성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DC breakdown 및 sheath] [1] 581
22 RF 스퍼터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장비 분해 리빌트 및 테스트] [1] 57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