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Discharge Plasma 수중플라즈마에 대해
2012.08.16 12:52
안녕하세요. 수중플라즈마에 대해 궁금증이 생긴 학생입니다.
수중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방식 중 전기분해 방식에서요
전기분해 시 형성되는 기포가 압축방전되어 터지면서 라디칼이 발생하는 건가요
아니면 단순하게 화학적 반응의 중간과정으로 라디칼이 발생하는 건가요?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 7307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41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2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727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104 |
101 | 플라즈마로 처리가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1] | 15874 |
100 | ICP TORCH의 냉각방법 | 15823 |
99 | In-flight plasma process | 15425 |
98 | 냉각수에 의한 Power Leak | 14377 |
97 | remote plasma 데미지 질문 [1] | 12816 |
96 | Remote Plasma에서 Baffle 재질에 따른 Plasma 특성 차이 [1] | 10043 |
95 | 저온 플라즈마 장비에 관련하여 자문을 구합니다. | 9770 |
94 | 대기압 플라즈마에 대해서 | 9458 |
93 | 수중 방전 관련 질문입니다. [1] | 9424 |
» | 수중플라즈마에 대해 [1] | 8448 |
91 | Microwave 장비 관련 질문 [1] | 8400 |
90 |
N2 환경에서의 코로나 방전을 통한 이온생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 8367 |
89 | 상압 플라즈마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1] | 7956 |
88 | Arcing(아킹) 현상 및 local plasma 관련 문의 [1] | 7877 |
87 | CCP에서 DIelectric(유전체)의 역활 [1] | 7411 |
86 | 액체 안에서의 Dielectric Barrier Discharge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 6339 |
85 | 공동형 플라즈마에서 구리 전극의 식각 문제 [2] | 6250 |
84 | 저온 플라즈마에 관해서 [1] | 6172 |
83 |
코로나방전, 이온풍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 | 5132 |
82 | RPSC 관련 질문입니다. [2] | 32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