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Plasma Cleaning]
2023.02.09 13:21
안녕하세요. 반도체 회사 재직중인 설비엔지니어입니다.
텅스텐 DEPO 설비 유지보수 중에 RF Plasma를 통한 텅스텐 Cleaning에 문제점이 생겨 조언을 얻고자 질문드립니다.
텅스텐 Plasma Clean 조건
2100W Generator Power / C2F6 : O2 (1:1 비율) / 300mTorr Chamber Pressure / 13.56MHZ Matcher
Plasma Cleaning 진행 중 깜빡깜빡이는 현상이 확인되며 PM을 하고자 Chamer Open 했을 때
텅스텐이 Etching 되지 않고 Heater 및 Shower Head에 텅스텐이 그대로 남아있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관련하여 챔버에 압력/Clean gas/RF 계통의 Part들을 교체해 보고 있으나 현상이 개선되지 않아
플라즈마 깜빡깜빡이는 현상이 Etching 효율을 떨어뜨리는 걸로 보이는데 문제점이 무엇일지 조언 받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6] | 97424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23714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6041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72264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102606 |
828 | SCCM 단위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Flow rate] | 148409 |
827 | DC 글로우 방전 원의 원리 좀 갈켜주세여.. | 134573 |
826 | RF 플라즈마와 Microwave 플라즈마의 차이 [해리와 세정 활성종] | 97377 |
825 | Plasma source type [CCP, ICP, TCP] | 80258 |
824 | Silent Discharge | 64634 |
823 | VPP,VDC 어떤 FACTOR인지 알고 싶습니다. [Vpp, Vdc와 플라즈마 발생 원리] [1] | 55763 |
822 | 안녕하세요. RF Ma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Matching과 L-type] [1] | 48753 |
821 | 플라즈마내에서의 아킹 [Charge와 plasma potential] | 43899 |
820 |
반도체 CVD 공정의 ACL공정에서 RF Reflect Power에 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 | 41590 |
819 | 대기압 플라즈마 | 40914 |
818 | Ground에 대하여 | 40004 |
817 | RF frequency와 RF power 구분 | 39403 |
816 | Self Bias [Self bias와 플라즈마 특성 인자] | 36702 |
815 | Ar plasma와 O2 plasma 차이??(Matching Network) [Matching Q factor와 negative ion] | 36330 |
814 | ECR plasma 장비관련 질문입니다. [ECR과 enhanced process] [2] | 35248 |
813 | PEALD관련 질문 [Passivation 막 증착 과정] [1] | 32975 |
제 생각에는 W cleaning이 충분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남아 있는 W 입자들 주변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고 이 주변에서 방전이 발생하면 플라즈마 전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현재 상태로 진행하는 공정은 관리가 어렵게 됩니다. 혹시 가능하다면, 장비사와 함께 cleaning 리시피 보강 방법을 찾아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