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sition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표면개질에 관해
2004.06.19 16:43
안녕하십니까? 저는 대전에 필텍광학이라는 코팅전문회사에 근무하는 이 은석이라고 합니다. 저희는 진공증착(PVD)를 주사업으로 하고 있지만 장래에는 CVD를, 또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코팅을 하려고 노력 중입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PMMA 또는 PC(폴리카보네이트)의 금속산화물 증착이 가능하도록 플라즈마 표면개질로 가능한 방법이 있는가? 궁급합니다. 저희는 자체 제작한 플라즈마 장비로 실험을 하고 있는데 기본구조를 소개드리면,
13.56MHz
0 - 1500 watt
3가지 gas를 동시 주입이 가능하고
2종류의 액상 모노머를 혼입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reactor는 대략 1000 x 800 x 650 mm 정도로 판형 전극이 장치되어 있습니다.
산소, 질소, 알콘, 이산화탄소 등의 플라즈마 처리와
실란류들의 플라즈마중합도 해보았는데 부착성에서 시료부착성이 문제가 됩고 있습니다.
강의록 내용중에 암모니아를 이용한 PMMA 표면개질에 대해 간단히 소개되었던데 조금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또한 이와유사한 경험이 있으신 분의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그럼 안녕히 계세요!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58] | 7298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57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1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680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5997 |
484 | Virtual Matchng | 16754 |
483 | ICP 식각에 대하여... | 16729 |
482 |
ESC Chuck Pit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 | 16648 |
481 | OLED에서 SF6와 CF4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1] | 16643 |
480 | nodule의 형성원인 | 16603 |
479 | 몇가지 질문있습니다 | 16539 |
478 | 좁은 간격 CCP 전원의 플라즈마 분포 논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 | 16317 |
477 | 궁금해서요 | 16288 |
476 | CCP 의 electrode 재질 혼동 | 16271 |
475 | 플라즈마의 어원 | 16255 |
474 | 궁금합니다 [1] | 16107 |
473 | 핵융합과 핵폐기물에 대한 질문 | 15998 |
472 | 공정검사를 위한 CCD 카메라 사용 | 15984 |
471 | 역 수소폭탄에 대하여... | 15962 |
470 | k star | 15924 |
469 | 플라즈마로 처리가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1] | 15871 |
468 | ICP TORCH의 냉각방법 | 15823 |
467 | corona | 15809 |
466 | Sputtering 중 VDC가 갑자기 변화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15776 |
465 |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 중 용어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1] | 15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