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dot 플라즈마 진단에서 rogowski 코일 관련 질문 드립니다.
2017.11.27 04:58
플라즈마 진단에서 로고스키 코일의 역할이 무언가요?
로고스키 코일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02] | 367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5354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058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300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2184 |
149 | wafer bias [1] | 724 |
» | 플라즈마 진단에서 rogowski 코일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724 |
147 | 산소 플라즈마 처리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 720 |
146 | 상압플라즈마 제품 원리 질문드립니다 [2] | 719 |
145 | 진학으로 고민이 있습니다. [2] | 716 |
144 | ESC 표면 온도랑 식각률의 차이가 어떤 관계로 있는걸까요?? [1] | 713 |
143 | RF matcher와 particle 관계 [2] | 707 |
142 | Decoupled Plasma 관련 질문입니다. [1] | 706 |
141 | O2 Plasma 에칭 실험이요 [1] | 706 |
140 |
O2 etch 후 polymer 변성에 관한 문의
![]() | 703 |
139 | PPV(플라즈마 용융 유리화)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 702 |
138 | 플라즈마 구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궁금합니다. [1] | 697 |
137 | 플라즈마 장치 관련 기초적 질문입니다. [1] | 693 |
136 | HEATER 교체 이후 SELF BIAS 상승관련 문의 [1] | 691 |
135 | Dechucking과 He gas의 관계 질문입니다. [1] | 680 |
134 | RF 주파수와 공정 Chamber 크기의 상관관계 [1] | 678 |
133 | 매칭시 Shunt와 Series 값 [1] | 676 |
132 | 전자 온도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 671 |
131 | LF Power에의한 Ion Bombardment [1] | 670 |
130 | RF MATCHING 관련 교재 추천 부탁드립니다 [1] | 666 |
로고스키 코일은 플라즈마 전류로 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유도 기전력으로 측정하는 장치로서, Faraday's induction 법칙을 활용함으로 b-dot probe라고도 표현이 됩니다. 기전력 값을 키우기 위해서 coil turn 수가 늘어나게 되고, coil를 잘 감고 내부 기생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 coil의 역방향을 추가하는 등의 tip이 있습니다만, 기본적인 플라즈마 진단 방법이니 plasma diagnostics 관련 자료를 보면 구동 원리와 제작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겠습니다. 많은 경우 제작 한 후에 calibration 과정을 거쳐 민감도를 향상시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