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졸업작품으로 상압플라즈마를 이용하는 살균기를 개발중인 학생입니다

제품에 관한 질문이라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혹시 답변이 가능하시다면 부탁드리겠습니다.. 

저희 팀은 DBD형식의 전극을 만들어서 진행하고 있고, 몇 번의 방전실험에서 가장 낮았던 방전전압은 상압에서 1400V 입니다.

이 상태로 제품에 사용되려면 엄청 큰 공업용 변압기를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판매되고 있는 플라즈마 제품들은 이러한 변압기 없이 가정용전압인 220V로 잘 쓰이고 있다는게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시중의 플라즈마 제품들은 코로나 방전, 아크 방전을 이용한다고 하는데, 전극형상이 침상처럼 뾰족한 것을 사용해서 저전압으로도 구동되는 원리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원리가 맞는건지.. 아니면 저전압으로 방전시키는 다른 방법이 있는건지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3] 103429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731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55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3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984
314 low pressure영역에서 아킹이 더 쉽게 발생하는 이유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파센 커브와 글로우 방전] [1] 1740
313 플라즈마 rotational temperature에 관해서 질문드릴게 있습니다. [플라즈마 토치에서의 Rotational temperature] [1] 1737
312 O2 plasma etching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Global model] [1] 1718
311 Plasma 발생영역에 관한 질문 [Plasma sheath의 형성과정] [2] 1714
310 플라즈마 챔버 [화학반응 및 내열조건] [2] 1709
309 Langmuir probe의 위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전자 소실 및 플라즈마 전위] [3] 1699
308 I-V characteristic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전자전류의 해석] [1] 1682
307 잔류시간 Residence Time에 대해 [표면 유속 정보, 유체해석 코드] [1] 1679
306 RF 케이블 발열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1675
305 RF Frequency 가변과 Forward Power의 상관관계 [임피던스 매칭] [2] 1674
304 강의를 들을 수 없는건가요? [플라즈마 진단 심포지움 및 PSES-net] [2] 1674
303 플라즈마에서 가속 전압 또는 RF 파워 관련 질문드려요 [RF power와 power factor] [1] 1671
302 식각 가스 사용 챔버의 잔류 flourine cleaning 혹은 conditioning 방법 질문 [O2 plasma, ion sputtering] [1] 1657
301 Remote plasma source의 주파수 400kHz 이유 [Remote plasma 이해] [1] 1651
300 접착력을 위한 플라즈마 처리 관련 질문입니다. [플라즈마 소스 변경] [1] 1651
299 전자 온도 구하기 [쉬스 전압, 스퍼터링 효과] [1] file 1645
298 DBDs 액츄에이터에 관한 질문입니다. [Plasma actuator와 DBD 방법] [3] 1642
297 dbd-플라즈마 질문있어욤!!!!! [플라즈마 생성 반응] [1] file 1630
296 MFP와 Sheath 관련하여 추가 질문 드립니다. [Collisional sheath 정의] [1] 1628
295 임피던스 매칭 및 플라즈마 진단 [플라즈마 전류량] [1] 162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