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Source 산소 플라즈마 처리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DBD]
2020.03.18 15:44
안녕하세요, 이번에 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학생입니다.
제 전공은 생물공학인지라 플라즈마에 관한 내용을 잘 알지 못하는데, 이번에 샘플의 표면 산화처리를 위해 플라즈마 기계의 이용을 권유받았습니다.
다만 문제가 있는 부분이 제 샘플이 약 10-100um의 플라스틱 분말이라는 점입니다.
진공을 걸고 푸는 과정에서 샘플이 날려 기계에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아 여러 방법을 고민중입니다.
제가 고민하는 실험방법은 크게 두 종류입니다.
1. 밀폐가 가능한 유리용기 내에 미리 산소를 주입하여 포화도를 올린 후 밀봉한 상태로 플라즈마 처리
2. 공기는 이동이 가능하나 분말은 이동이 불가능한 사이즈의 필터를 이용해 샘플을 가둬둔 후 플라즈마 처리
이러한 실험이 가능하려면 종이 혹은 유리를 뚫고서 내부에 있는 분말까지 플라즈마 처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부분을 확신할 수 없어 문헌조사만 하고 있습니다.
제가 찾아보고 이해하는데 시간적 한계가 와서 이 곳에 질문을 남깁니다.
답변이 가능하신 부분이라면 좋겠지만, 혹여 그렇지 못하다면 이와 관련된 논문이나 자료가 있을지도 여쭤보고 싶습니다.
제가 사용할 기기는 femco science 사의 cute라는 기계입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본 게시판을 잘 읽어 보시면 플라즈마 생성 기전에 대한 소개가 여러번 있습니다. 생성기전에 기반해서 플라즈마가 종이를 뚫고 지나갈 수 있는가 생각해 보세요. 이 해석은 플라즈마에 대한 많은 이해를 얻게 해 줄 것입니다. 이를 확장하면 유리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단, 조건이 플라즈마가 뚫고 지나갔다는 한쪽에서 만들어진 플라즈마가 그 성질을 거의 유지하면서 다른 쪽으로 이동했다는 의미로 해석한다는 조건입니다.
생물학에서 쓰는 플라즈마는 대부분 유리, 세라믹 등의 부도체 표면에서 플라즈마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확장하면 유리 등으로 가려진 한쪽 공간에서 플라즈마를 만들고, 격벽 이후의 다른 공간에서 플라즈마가 따로 만들어 지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이는 플라즈마가 투과했다고 말하기 힘듧니다.
이러한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 생성에서 전기장의 역할과 유전체격벽방전(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의 keyword로 공부해 보세요. 본 게시판에서도 여러번 소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