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2022.06.07 20:57
안녕하세요.
현재, 플라즈마 장비를 이용하여 표면구조 처리를 하고자 하는 대학원생 조원희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플라즈마를 주로 전공하는 과 가 아니기 때문에, 현재 연구실에 있는 플라즈마 샘플 위치에 헷갈림이 좀 있습니다.
오래전 저희 연구실에서는 O2와 Ar을 이용하여,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들거나 고분자에 Ar/O2를 혼합하여 etching을 하였었는데, 경험 하신분들이 다 졸업을 하시는 바람에, 여기에 도움을 청하게 됐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1. O2만을 이용하여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들때의 표면 위치와
2. Ar을 이용하여 etching을 할때의 표면 위치가
두 경우에 다른지가 궁금합니다.
타겟으로 하는 표면을 각각의 경우에, 챔버 내부의 RF Power와 Matching box가 연결되어 있는 부분에 두어야 하는지, 그 반대에 두어야 하는지 혹시 도와주실 분이 계신가요..?
참고로 샘플은 PDMS (고분자) 입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01] | 3645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5335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0574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298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2075 |
29 |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3] | 323 |
28 |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 323 |
27 |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 | 313 |
» |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1] | 291 |
25 |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 286 |
24 |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 283 |
23 | 자외선 세기와 결합에너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275 |
22 |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 | 275 |
21 |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 270 |
20 |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 267 |
19 |
CCP 설비에서 Vdc, Vpp과 Power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 | 266 |
18 | SiO2 박말 밀도와 반응성 간 상관 관계 질문 [1] | 265 |
17 |
연속 Plasma시 예상되는 문제와 횟수를 제한할 경우의 판단 기준
[1] ![]() | 262 |
16 |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 254 |
15 | Co-relation between RF Forward power and Vpp [2] | 252 |
14 |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 249 |
13 |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1] | 229 |
12 |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 186 |
11 | 공정 진행 중 의도적인 섭동 효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 186 |
10 |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1] | 160 |
저희도 공정 경험이 없어 답을 드리기 힘들지만, 다음 키워드로 조사를 하면 계시판 답글에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공정이슈로 보입니다.
다만 관련 플라즈마에 관해서는 세정, 폴리머, 친수성, RIE 모드 또는 플라즈마 모드, self-bias 현상과 관련이 있을 것 같아 키워드 추천드립니다. 혹시 여력이 되면 음이온 플라즈마의 공간 분포의 현상에도 관심을 가져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