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in general 구 대칭으로 편광된 전자기파를 조사할 때에 대한 질문입니다.
2021.05.07 19:52
안녕하세요. 저는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박재우입니다. 천체물리학에 관심이 있어
자연스럽게 플라스마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태양을 비롯한 천체와 은하의 격렬한 활동에
의해 우주에는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X선과 감마선이 흔하게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다 구 대칭으로 편광 된 빔들이 더해져 중심부에 큰 세기가 되는 것을 알고
핵융합뿐만 아니라 전자기파도 플라스마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가스의 절연내력만 넘겨도 절연파괴가 일어나 아크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플라스마의 물성이 난해하고 분포가 균일하지 않으면 더 어려워서 '금속 전도성이
한계일 것이다.'라는 전제를 가졌습니다. 감쇠상수가 0이 될 수 있는 파장대를 찾아
보니 감마선이었습니다.
하지만 빛은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고, 산란 혹은 흡수 등이 일어날 수도 있고 ...
물어볼 사람도 없고 실제로 플라스마에 X-ray이나 감마선을 조사할 수도 없어 답답했습니다.
그러다 서울대 플라스마 연구소를 알게 되었고, 이렇게 질문을 하게 됐습니다.
첨부파일은 제가 어설프게나마 생각한 것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1. 구 대칭으로 편광 된 X-ray을 조사하였을 때 플라스마는 어떻게 될까요?
2. 자연계에서 플라스마의 도전율의 한계가 어디로 생각하는게 좋을까요?
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그럼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44] | 5913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362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3185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11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5209 |
39 |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 356 |
38 | 자외선 세기와 결합에너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352 |
37 | 전자밀도 크기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Ar, O2, N2 가스) [1] | 351 |
36 |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 350 |
35 | 반도체 관련 플라즈마 실험 [1] | 349 |
34 |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 335 |
33 |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 | 330 |
32 |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 329 |
31 |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 319 |
30 |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 317 |
29 |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 | 317 |
28 |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 307 |
27 |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 303 |
26 | 플라즈마 진단 OES 관련 질문 [1] | 285 |
25 | Chamber impedance 범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282 |
24 | 주파수 변화와 Plasma 온도 연관성 [1] | 271 |
23 |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 270 |
22 |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1] | 264 |
21 | OES를 이용한 Gas Species 정량적 분석 방법 [1] | 252 |
20 |
RPSC 시 Pressure와 Throttle Valve Position의 관계
[1] ![]() | 2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