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ICP 설비를 맡고 있는 엔지니어입니다.

 

오늘은 Micro arc 형성 과정에 대해 질문 드리고 싶고, 목표는 Arc에 의한 Particle Issue를 해결위해 RCP 를 개선해보고 싶습니다.

 

크게 세가지가 궁금한데요

1. Arc 발생 이유는 흔히 Plasma 를 설명할 때 나오는 DC V-I graph 로 이해하면 될까요? 이해한 바로는 plasma bulk와 electrode 사이에 다시한번 breakdown이 일어나고, 열이 발생하는 region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Conrona 방전과 streamer 는 상관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만일 위 질문과 같은 mechanism이 맞다면, Chamber wall에서 breakdown은 어떻게 일어나는 것인지요? 지난 질문을 통해 전자레인지현상으로 받아는 들였습니다만 왜 불꽃이 일어나는지 or 챔버라면 왜 chamber wall이 타고 뜯겨져 나가게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3. 이를 제어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말씀드린 것 처럼 ICP TYPE 설비로, 아킹이 발생되는 step은 BIAS POWER를 인가하는 시점으로 추정됩니다.(sensor 통해 확인)

BIAS POWER 인가 시점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봤더니 Pressure가 급격히 증가합니다. 또한 부드럽게 증가하지 않고 진동하며 증가하는 부분도 확인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것은, pressure 증가와 Micro arc의 상관관계입니다. 이미 Top power에 의해 plasma가 형성 되어있는 상황에서 Bias power를 on 하는데요, 이 시점에 Pressure를 급격히 증가시키는 것이 Arc region으로 넘어가는 이유인 것을 이해하고 싶습니다. DC V-I Graph에서 Arc region으로 넘어가는 이유가 저항이 감소하는 것인 것과 동일한 것인지 알고 싶고, 맞다면 arc region으로 넘어가지 않게, 전극에 Charging 되지 않도록 해주면 개선 되는 것일까요.

 

 

교수님의 조언과 지도로 현장에서 큰 도움되고 있습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850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8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1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78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28
33 DBD 방전 방식의 저온 플라즈마 관련해서 3가지 질문 드립니다. [DBD 방전과 DC breakdown] [1] 426
32 구 대칭으로 편광된 전자기파를 조사할 때에 대한 질문입니다. [초고밀도 플라즈마] [1] file 424
31 Si 와 SiO의 선택적 식각 관련 문의입니다. 417
30 실리콘 수지 코팅 Tool에 Plasma 클리닝 시 코팅 제거 유/무 [대기압 플라즈마, highly collisional plasma] [1] 412
29 화장품 원료의 플라즈마 처리 문의 [환경 플라즈마] [1] file 411
28 Ni DC 스퍼터 관련 질문있습니다. [Base pressure 이해] [1] 405
27 챔버 내 전자&이온의 에너지 손실에 대해 [에너지 균형과 입자 균형식] [1] 403
26 플라즈마 사이즈 측정 방법 [플라즈마 분포 측정 및 산포 평가] [1] 401
25 RF generator의 AMP 종류 질문입니다. [RF Power] [1] 396
24 CCP 장비 하부 전극 dc 펄스 전력 [1] 394
23 반사파에 의한 micro arc 질문 [VHF 전력 인가] [2] 383
22 RF ROD 연결부 부하로 인한 SHUNT, SERIES 열화 [2] file 381
21 Druyvesteyn Distribution 371
20 RF sputtering reflect power에 대해서 질문 남깁니다. 367
19 DC Arc Plasma Torch 관련 문의 [1] 365
18 Lxcat dataset에 따른 Plasma discharge에 대한 질문입니다. [CX 데이터] [1] 349
17 플라즈마를 이용한 물속 세균 살균 질문드립니다. [Bactericidal 이해] [2] 347
16 ExB drift 식 유도 과정에서의 질문 [삼각함수의 위상각] [1] 344
15 내플라즈마 코팅의 절연손실에 따른 챔버 내부 분위기 영향 여부 질문드립니다. [유전체 상태 모니터링] [1] 343
14 corona model에 대한 질문입니다. [준중성과 저압플라즈마] [1] 34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