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Plasma를 이용한 etch를 공부하고 있는 학부연구생입니다.

현재 ICP를 공부하고 있고 특히 유도전류로 플라즈마 형성 후 bias에 의해서 wafer에 입사되는 과정에 대해서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ICP방식은 플라즈마를 유도하는 RFsource와 생성 후 이를 wafer 쪽으로 직진할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RF bias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Bias가 plasma를 잡아 당겨 wafer쪽으로 이끄는 것이 목표라면 왜 굳이 DC를 쓰지 않고 AC를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DC를 사용하면 오히려 더 강하게 잡아당길 수 있을 것 같은데 이렇게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극성이 고정되면 하부 esc방향으로

전하들이 쌓여서 chamber의 life를 갉아먹어서 그런것인가 궁금합니다.

 

2.단순히 RF power를 주는 것이 아니라 pulsing을 해서 인가하는 것을 알고 있는데

이는 step을 나눠서 etch -> purge순으로 진행하여 HAR 구조에서 by-product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Loading effect를 완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3.최근에 pulsing을 할 때 ac pulsing을 하는것이 아니라 DC pulsing을 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알고있는데

혹시 이는 ac대신에 단순히 dc를 인가하여 직진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인지 각각의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4.3번 질문에 이어서 그러면 DC로 pulisng을 한다면 이온 에너지의 분포 IED가 달라져서 sheath 모양에도 영향을 주는지 알고 싶습니다.

DC pulisng시에 ion energy 분포가 어떻게 될지가 궁금합니다.

 

5.마지막으로 blocking capacitor가 없으면 self-bias가 발생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극판의 크기를 달리하면 없어도 발생할 것 같은데 확실하지 않아서 말씀드립니다.

 

한상 좋은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공부에 도움이 되어 많은 도움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98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9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5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9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62
33 DBD 방전 방식의 저온 플라즈마 관련해서 3가지 질문 드립니다. [DBD 방전과 DC breakdown] [1] 426
32 구 대칭으로 편광된 전자기파를 조사할 때에 대한 질문입니다. [초고밀도 플라즈마] [1] file 424
31 Si 와 SiO의 선택적 식각 관련 문의입니다. 421
30 화장품 원료의 플라즈마 처리 문의 [환경 플라즈마] [1] file 412
29 실리콘 수지 코팅 Tool에 Plasma 클리닝 시 코팅 제거 유/무 [대기압 플라즈마, highly collisional plasma] [1] 412
28 Ni DC 스퍼터 관련 질문있습니다. [Base pressure 이해] [1] 405
27 챔버 내 전자&이온의 에너지 손실에 대해 [에너지 균형과 입자 균형식] [1] 405
26 CCP 장비 하부 전극 dc 펄스 전력 [1] 401
25 플라즈마 사이즈 측정 방법 [플라즈마 분포 측정 및 산포 평가] [1] 401
24 RF generator의 AMP 종류 질문입니다. [RF Power] [1] 396
23 RF ROD 연결부 부하로 인한 SHUNT, SERIES 열화 [2] file 390
22 반사파에 의한 micro arc 질문 [VHF 전력 인가] [2] 383
21 DC Arc Plasma Torch 관련 문의 [1] 372
20 Druyvesteyn Distribution 372
19 RF sputtering reflect power에 대해서 질문 남깁니다. 367
18 Lxcat dataset에 따른 Plasma discharge에 대한 질문입니다. [CX 데이터] [1] 351
17 플라즈마를 이용한 물속 세균 살균 질문드립니다. [Bactericidal 이해] [2] 348
16 ExB drift 식 유도 과정에서의 질문 [삼각함수의 위상각] [1] 344
15 내플라즈마 코팅의 절연손실에 따른 챔버 내부 분위기 영향 여부 질문드립니다. [유전체 상태 모니터링] [1] 343
14 corona model에 대한 질문입니다. [준중성과 저압플라즈마] [1] 34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