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교수님

디스플레이 업체에서 현재 CVD설비 공정분석을 담당하고 있는 이재학입니다.

 

Chamber별로 RF Reflect의 수준이 상이하며, 검사기에 검출되는 불량수와 양의 관계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1. RF Reflect 발생으로 인해 내부 이물이 과생성되는 건지

 

2. 내부 이물로 의해 RF Reflect가 점점 커지는지 의문입니다.

 

 

1의 경우 Load/Tune을 통해 내부 이물을 제어하는 평가를 진행하려하고

 

2의 경우 Parts 교체와 재질변경을 통해 RF Reflect를 낮추는 방향으로 진행하려합니다.

 

 

교수님의 견해로는 어느방향에 유의차가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76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7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39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6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01
733 상압 플라즈마 관련 문의입니다. [열용량과 방전 전력에 따른 냉각 장치] [1] 21751
732 대기압플라즈마를 이용한 세정장치 21674
731 Breakdown에 대해 21666
730 CCP에서 Area effect(면적)? [Self bias와 sheath capacitance] 21666
729 저온 플라즈마에서 이온, 전자, 중성자 온도의 비평형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서 [Equilibrium과 collision] [1] 21607
728 플라즈마 측정기 [How Langmuir Probe Works] [1] 21558
727 전자파 누설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Coaxial cable과 wave shield] [1] file 21528
726 ICP 플라즈마 매칭 문의 [Matching과 breakdown] [2] 21501
725 47th American Vacuum Society International Symposium 2000 file 21476
724 플라즈마 실험 21425
723 Xe 기체를 사용한 플라즈마 응용 21419
722 RF plasma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Sheath model, Ion current density] [2] 21365
721 UBM 스퍼터링 장비로… [UBM과 열팽창 및 coating] [1] 21188
720 플라즈마란? [제 4의 물질 상태] 21165
719 대기압 플라즈마 진단 [탐침을 통한 대기압 진단의 문제점] 21091
718 플라즈마 진단법에 대하여 [플라즈마 진단과 Spectroscopy] [1] 21002
717 plasma cleanning에 관하여 [Sputtering과 Etch] 20972
716 IEDF EQP에 대한 답변 file 20907
715 이온주입량에 대한 문의 20906
714 교재구입 2084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