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 고에너지 응용 연구실에 있는 석사과정 정재헌이라합니다.

플라즈마 쪽에 조언을 구할게있 어 이렇게 연락드렸는데요.

요즘 상업족에서 전기 펄스를 이용하여 폭발이나 플라즈마가 형성된후 나오는 shockwave를 통해 여러가지 분야에 쓰이는 점을 배웠습니다.

녹조제거나 건축술등등

수중이나 대기상태에서 나오는 충격파가 생각보다 파괴력이 있다는게 느껴졌는데요

혹시 진공상태나 우주에서도 그러한 펄스를 이용하면 충격파가 생성되고 파괴력도 생기나요? 아니면 전기 펄스만 쭉퍼지나요?

제가 플라즈마에 얕팍한 지식뿐이라.. 조그만한 디테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재헌 올림.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3] 103380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71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54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2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968
734 상압 플라즈마 관련 문의입니다. [열용량과 방전 전력에 따른 냉각 장치] [1] 21752
733 CCP에서 Area effect(면적)? [Self bias와 sheath capacitance] 21690
732 대기압플라즈마를 이용한 세정장치 21674
731 Breakdown에 대해 21669
730 저온 플라즈마에서 이온, 전자, 중성자 온도의 비평형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서 [Equilibrium과 collision] [1] 21609
729 플라즈마 측정기 [How Langmuir Probe Works] [1] 21561
728 전자파 누설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Coaxial cable과 wave shield] [1] file 21548
727 ICP 플라즈마 매칭 문의 [Matching과 breakdown] [2] 21504
726 47th American Vacuum Society International Symposium 2000 file 21480
725 플라즈마 실험 21428
724 Xe 기체를 사용한 플라즈마 응용 21426
723 RF plasma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Sheath model, Ion current density] [2] 21370
722 UBM 스퍼터링 장비로… [UBM과 열팽창 및 coating] [1] 21190
721 플라즈마란? [제 4의 물질 상태] 21171
720 대기압 플라즈마 진단 [탐침을 통한 대기압 진단의 문제점] 21094
719 플라즈마 진단법에 대하여 [플라즈마 진단과 Spectroscopy] [1] 21014
718 plasma cleanning에 관하여 [Sputtering과 Etch] 20977
717 IEDF EQP에 대한 답변 file 20910
716 이온주입량에 대한 문의 20907
715 교재구입 2084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