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반도체 관련 업종에 취직한 신입입니다.

현재 사내 플라즈마 테스트 장비에서의 매쳐 값을 검토 하는 중 막히는 부분이 있는 중

장비를 뜯어보기도 어렵고, 전임자는 이미 퇴사하여 혼자 이것저것 찾으며 하려니 도움 청할데가 마땅히 없어서 글 올립니다..

 

매쳐의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뜯어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XC1 = (READ_AIO(RF_LOAD) + 0.00001) * 15 * 0.000000000001;
 XC2 = (READ_AIO(RF_TUNE) + 0.00001) * 5 * 0.000000000001;
 A = 3.141592 * 2 * 13560000;

 d1 = Power(50, 2);  제곱
 d2 = Power(1 / (A * XC1), 2);  제곱
 R = (50 * d2) / (d1 + d2);
 J = -(d1 * 1 / (A * XC1)) / (d1 + d2) + (A * 0.0000012) - (1 / (A * XC2));

결과는 대략  z=2.269+j56.126 정도 나옵니다.

 

얕은 지식으로는 XC1, XC2는 매쳐에서의 직, 병렬 가변 커패시터 값을,

A는 각속도 ω, J 에서 (A * 0.0000012) 값은 인덕터 값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이외의 값들은 어떻게 저런 계산이 도출되었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L 타입 매쳐는 아닌 것으로 보여 상기 값으로 매쳐의 임피던스가 도출 되려면 어떤 회로로 구성되어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도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2995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92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5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49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866
733 상압 플라즈마 관련 문의입니다. [열용량과 방전 전력에 따른 냉각 장치] [1] 21751
732 대기압플라즈마를 이용한 세정장치 21674
731 CCP에서 Area effect(면적)? [Self bias와 sheath capacitance] 21670
730 Breakdown에 대해 21667
729 저온 플라즈마에서 이온, 전자, 중성자 온도의 비평형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서 [Equilibrium과 collision] [1] 21609
728 플라즈마 측정기 [How Langmuir Probe Works] [1] 21558
727 전자파 누설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Coaxial cable과 wave shield] [1] file 21537
726 ICP 플라즈마 매칭 문의 [Matching과 breakdown] [2] 21501
725 47th American Vacuum Society International Symposium 2000 file 21477
724 플라즈마 실험 21425
723 Xe 기체를 사용한 플라즈마 응용 21421
722 RF plasma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Sheath model, Ion current density] [2] 21368
721 UBM 스퍼터링 장비로… [UBM과 열팽창 및 coating] [1] 21190
720 플라즈마란? [제 4의 물질 상태] 21167
719 대기압 플라즈마 진단 [탐침을 통한 대기압 진단의 문제점] 21092
718 플라즈마 진단법에 대하여 [플라즈마 진단과 Spectroscopy] [1] 21008
717 plasma cleanning에 관하여 [Sputtering과 Etch] 20973
716 IEDF EQP에 대한 답변 file 20909
715 이온주입량에 대한 문의 20907
714 교재구입 2084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