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 bias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계십니다. Matching network에 직렬C 가 있음으로 M/N을 사용할 때 Blocking C는 필요없게 됩니다.
아울러 Insulator를 Electrode위에 놓은 상태라면 이 Insulator가 C 역할을 하게 됨으로 이때도 Blocking C가 없어도 self bias가 형성됩니다. 또한 대부분의 반응기에 전극들의 면적비가 상당합니다. 이유는 반응용기 자체를 접지 전극으로 생각학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43] | 579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21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301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4471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5086 |
558 | smsith chart 공식 유도하는 방법? | 19553 |
557 | Full Face Erosion 관련 질문 [2] | 19375 |
556 | cross section 질문 [1] | 19364 |
555 | 터보분자펌프에 대해서 질문 좀 하고 싶어요! | 19263 |
554 | [re] 터보분자펌프에 대해서 질문 좀 하고 싶어요! | 19210 |
553 | MFC | 19209 |
552 | CCP/ICP에서 자석의 역활에 대하여 | 19177 |
551 | QMA에 관하여 [1] | 19174 |
550 | AC 플라즈마에서의 전압/전류 형상... | 19172 |
549 |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2] | 19137 |
» | self bias [1] | 19115 |
547 | 질문이 몇가지 있읍니다. [1] | 19091 |
546 | 플라즈마를 이용한 박막처리 | 19090 |
545 | 기중방전에서 궁금한것이 | 19079 |
544 | [Q]플라즈마 생성위한 자유전자라는게 뭐죠? | 19069 |
543 | scattering cross-section, rf ground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2] | 19013 |
542 |
AMS진단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 | 18956 |
541 | 플라즈마에 관하여... | 18875 |
540 | RF를 이용하여 Crystal 세정장치 [1] | 18777 |
539 | 등온플라즈마와 비등온플라즈마 | 186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