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대학원에서 플라즈마 상태에 따른 박막의 특성을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현재 연구실에서 OES를 사용하고 있는데, 분석 법 중에서 Actinometry 법 외에 excitation temperature를 구할 수 있는 것을 뒤늦게서야 알게 됐습니다.

몇몇 논문을 봤을 때 랭뮤어 탐침 법으로 electron temperature를 구하고, OES로 excitation temperature를 구한 결과를 비교했을 때 같은 경향성을 나타낸다고 봤습니다. 

여기서 몇 가지 질문할 사항이 있습니다.

1. 그렇다면 OES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species의 excitation temperature를 구하여, species가 플라즈마 내에서 대략적으로 어떠한 상태인지를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지 않나요?

2. 그리고 electron temperature와 excitation temperature의 차이를 명확하게 모르겠습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9] 9887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396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063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254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3479
432 플라즈마 self bias 값과 압력, 파워의 상관관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이온과 전자의 속도 차이와 Gate valve의 위치] [1] 2390
431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610
430 수중속 저온 플라즈마 방전 관련 질문 드립니다. [방전 특성과 절연 파괴] [2] file 778
429 자기 거울에 관하여 1227
428 플라즈마 장치 관련 기초적 질문입니다. [Breakdown 이해] [1] 1030
427 Descum 관련 문의 사항. [라디컬 및 이온 생성과 플라즈마 생성 메커니즘] [1] 4298
426 RPC ClEAN시 THD 발생 [RF shield와 ground의 강화] [1] 869
425 Plasma Generator 관련해서요. [Matcher 성능 개선] [1] 1106
424 Plasma 발생영역에 관한 질문 [Plasma sheath의 형성과정] [2] 1659
423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상압 플라즈마 방전 메커니즘과 특성] [1] 651
» OES를 활용한 excitation temperature 분석 질문입니다. [Electron Temperature와 Excitation Temperature] [1] 6223
421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Chamber impedance와 공정 드리프트 진단 인자] [1] 1461
420 해수에서 플라즈마 방전 극대화 방안 [Plasma breakdown과 살균 과정] [1] file 661
419 고전압 방전 전기장 내 측정 [전극과 탐침과의 간격] [1] file 1281
418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17592
417 코로나 방전 처리 장비 문의드립니다. [광운대 최은하 교수님] [1] 684
416 RIE 공정시에 형성되는 두 효과를 분리해보고 싶습니다. [플라즈마 가속 전자의 충돌 반응] [1] 1096
415 코로나 전류가 0가까이 떨어지는 현상 [전극 설계 및 방전기 운전 모드 개발] [1] 935
414 e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충돌 현상 및 이온화 과정] [1] 2646
413 코로나 방전의 속도에 관하여 [코로나 방전의 이해] [1] 3666

Boards


XE Login